전라남도는 전남·광주·무안의 상생과 도민의 오랜 염원을 이루기 위해 광주 민간·군 공항의 무안국제공항 통합이전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규정하고 강력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미지는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홍보물[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가 광주 민간·군공항의 무안국제공항 통합이전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규정하고 강력히 추진한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가 주도 의지가 더해지며, 교착상태에 놓였던 공항 이전 논의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무안국제공항은 2007년 서남권 관문공항으로 개항했지만, 불과 40km 떨어진 광주공항의 존치로 인해 국내선 운항이 단절되고 이용객이 분산되며 ‘국제선 전용 공항’으로 머물러왔다. 전남도는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공항 기능을 정상화하기 위한 핵심 방안으로 광주 민간·군공항의 통합이전을 제시했다.

전라남도는 2023년 5월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담화문’을 발표하며 통합 이전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3조 원 규모의 ‘무안 미래발전 비전’을 선포하고, 주민 설득과 공론화에 나섰다. 또한 활주로 연장, 여객청사 확충, 미주·유럽 노선 취항 가능 인프라 조성 등 무안공항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열린 광주·전남 타운홀미팅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군 공항 이전은 국가가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대통령실 주관 6자 협의체(TF) 구성을 지시한 것이 결정적 계기가 됐다. 국가 차원의 직접 개입으로 그간 지자체 간 의견 충돌로 멈춰 있던 통합이전 논의가 새롭게 속도를 내게 됐다.

이와 함께 최근 여론조사에서 무안군민의 53.3%가 통합이전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찬성 여론이 처음으로 과반을 넘긴 것으로, 무안국제공항이 지역 경제와 미래 산업을 견인할 성장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라남도는 이재명 대통령의 후보 시절부터 광주공항 이전 문제 해결을 꾸준히 건의해왔으며, 새 정부 국정과제에 해당 사안을 반영시키는 등 기반을 다졌다. 도는 간담회·토론회·언론홍보 등 다각적 방식을 통해 주민 수용성을 높여왔으며, 긍정적인 여론 확산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라남도는 향후 무안군이 제시한 세 가지 조건(광주 민간공항의 호남고속철도(KTX) 2단계 개통 전 무안 이전, 광주시의 1조 원 규모 지역 지원 보장, 국가 차원의 획기적 지원책 마련)이 6자 협의체의 핵심 안건으로 다뤄질 수 있도록 정부 및 광주광역시와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전라남도 김영록 도지사는 “이재명 대통령께서 직접 챙기며 호남 발전을 위해 큰 의지를 보이고 있다”며 “이번이 무안국제공항을 살리고, 광주·전남의 하늘길을 하나로 잇는 마지막 황금 같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그는 “통합이전은 호남의 백년대계를 위한 결정으로, 반드시 성사시켜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전라남도는 앞으로 정부와 지자체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주민 공감대 확산을 위한 홍보활동을 병행하며 통합이전 추진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무안국제공항을 서남권 거점공항으로 성장시키고, 광주·전남 상생발전의 중심축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 #무안국제공항 #광주공항통합이전 #김영록지사 #이재명대통령 #6자TF #서남권거점공항 #KTX2단계 #국가주도사업 #호남상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