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서남권 에너지 혁신성장벨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이 사업은 태양광·풍력 등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RE100 산업단지와 신도시를 조성하고, 주민과 발전 이익을 공유하는 지역 상생형 성장 전략을 핵심으로 한다.사진은 전남 해상풍력 발전단지 전경(신안군 자은도)[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가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서남권 에너지 혁신성장벨트’ 조성에 본격 착수하며, 재생에너지 중심의 지속가능한 성장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사업은 태양광·풍력 등 풍부한 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RE100 산업단지와 글로벌 신도시를 조성하고, 주민과 발전 이익을 공유하는 지역 상생형 성장 전략을 핵심으로 한다.

전남은 전국 1위(444.2GW)의 재생에너지 발전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038년 국가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목표치(121.9GW)의 두 배를 넘는다. 그러나 수도권은 전력 수요의 40% 이상이 집중돼 만성적인 전력난에 시달리는 반면, 전남은 계통 포화로 인해 생산된 에너지를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전라남도는 전력 다소비 산업을 전남으로 유치해 국가 전력망 부담을 완화하고, 기업에는 RE100(재생에너지 100% 활용) 경쟁력 확보 기회를 제공하는 전략적 해법을 제시했다.

서남권에는 RE100 산업단지와 함께 3GW 이상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10만 명 규모의 글로벌 신도시를 건설한다는 구상이다.

신도시는 산업단지 근로자와 가족을 위한 정주·교육 인프라를 제공하는 동시에, 전국 최초의 에너지 자립형 도시 모델로 설계된다.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해 5.4GW 규모의 태양광 발전단지와 함께, 목포·영암·해남 일대에는 항만·부두·기자재 단지를 구축해 2035년까지 30GW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전라남도는 해상풍력 공동접속설비를 국가기간 전력망으로 지정하고, 기자재 국산화 및 산업생태계 육성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재생에너지 전용 요금제 신설, 세제 감면, 공공주도 개발 근거 마련 등 제도적 기반을 구축해 RE100 기업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전라남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10만 명 이상 인구 유입과 청년·전문인력 일자리 확대를 기대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발전수익을 활용한 ‘에너지 기본소득’ 제도를 도입해 도민과 함께 누리는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구현할 계획이다.

전라남도 정현구 에너지산업국장은 “서남권 에너지 혁신성장벨트는 전남의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핵심 프로젝트”라며 “재생에너지로 일자리를 만들고, 인구를 늘리는 등 도민과 함께 성장하는 균형발전 모델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 #에너지혁신성장벨트 #RE100산단 #AI데이터센터 #해상풍력단지 #재생에너지 #에너지기본소득 #균형발전 #김영록도지사 #전남미래10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