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이 안전한 현장체험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한 보조인력 인력풀 시스템이 톡톡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시교육청은 지난 7월 ‘교사가 안심하고 학생이 안전한 현장체험학습 지원 대책’을 시행했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광역시교육청(교육감 이정선)이 안전한 현장체험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한 ‘보조인력 인력풀 시스템’이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다. 교사들의 부담은 줄고, 학생들의 체험 기회는 대폭 늘어나며 학교 현장에 활력이 돌고 있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지난 7월 ‘교사가 안심하고 학생이 안전한 현장체험학습 지원 대책’을 본격 시행했다. 이는 6월 ‘학교안전법 개정’에 맞춰 마련된 대책으로, 사전·현장·사후 단계별로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사전 단계에서는 교원의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하고 매뉴얼을 구체화했으며, 현장 단계에서는 인솔 보조인력을 적극 지원했다. 사고 발생 시 교원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지난 5월 공무원연금공단 광주·전북지부와 ‘현장체험학습 보조인력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300여 명의 퇴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실습 및 안전교육을 실시했다.

이후 인력풀 시스템을 도입해 인력 자동검색, 이력관리, 위촉장 자동출력 등 기능을 추가해 학교 행정의 편의성을 높였다.

또 광주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 및 5개 자치구와 협력해 스쿨존 내 학생운송차량의 조건부 주정차 단속 면제 제도를 도입, 학생들의 안전한 승·하차를 보장했다.

9월 기준으로 64개 학교에 682명의 보조인력이 투입되었으며, 이들의 지원으로 수학여행과 현장체험학습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

실제로 올해 1학기에는 공립초 151개교 중 26개교만 수학여행을 추진했으나, 인력풀 시스템 시행 이후 111개교가 참여를 확정해 전체의 91%(137개교)가 수학여행에 나섰다. 교외 체험학습 역시 1학기 35개교에서 2학기 86개교로 증가하며 두 배 이상 활성화됐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이러한 변화가 교원의 인솔 부담이 감소하고,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이 구축된 결과로 보고 있다.

광주광역시교육청 이정선 교육감은 “교사가 부담 없이 학생과 함께 체험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협력해 안전하고 즐거운 현장학습 문화를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광역시교육청 #이정선교육감 #현장체험학습 #보조인력인력풀시스템 #퇴직공무원 #수학여행활성화 #학생안전 #교육행정혁신 #학교안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