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노조가 최종 조정 결렬 시 10월 1일 첫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경기도가 24시간 비상근무체제와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대체수송력 투입에 나선다. 도는 전체 시내·외 버스 1만 575대 중 약 8,437대, 비중으로는 약 80%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에 따르면 노조는 공공관리제 노선에 대해 서울시 수준의 통상임금 포함 임금 인상을, 민영제 노선에 대해서는 탄력근로제 연장 반대와 1일 2교대 전환, 공공관리제와의 임금 격차 해소를 요구하고 있으나, 사용자 측은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으로 팽팽히 맞서고 있다. 9월 30일 오후 4시 열리는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최종 조정회의가 결렬될 경우, 10월 1일 첫차부터 도내 시내·외 버스 50개 업체 조합원이 전면 파업에 나선다는 게 노조의 방침이다.

도는 파업 현실화에 대비해 시군·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주요 지하철역 등 수요 밀집 지역 234개를 ‘주요 탑승 거점’으로 지정했다. 전세 및 관용버스 381대를 거점 간 연결에 투입하고, 마을버스 증차·증회와 비파업 노선의 보완 운행으로 공백을 최소화한다.

출·퇴근 교통 혼잡을 낮추기 위한 대책도 병행된다. 수도권 전철·경전철 연장 운행과 택시 집중배차를 추진하고,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교통경찰 배치 등 혼잡 관리에도 나선다. 도는 또한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의 도·시군 누리집·SNS, G버스 TV, 정류소 안내문 등을 통해 실시간 파업 상황과 대체 노선을 신속히 안내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조정시한 만료 전까지 노사 설득과 중재에 총력을 기울이되, 파업 시 도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비상수송대책을 전면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김광덕 경기도 교통국장은 “노·사간 중재로 파업이 실행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불가피하게 파업이 현실화되면 언론과 누리소통망을 통해 정보를 상세히 알리고 시군·유관기관과 합동으로 비상수송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향후 파업 전개 상황에 맞춰 거점·투입 차량 규모와 대체 수송편 운영 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며, 출·퇴근 시간대 교통 수요 대응력을 높이는 데 정책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버스총파업 #경기도 #비상수송대책 #전세버스381대 #거점234곳 #마을버스증회 #전철연장운행 #택시집중배차 #경기지노위 #노사교섭 #교통혼잡대응 #GBIS #G버스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