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 중국 풍력사업에서 발생한 900억원 규모의 배당금 미수 문제를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사실상 해결하게 되었다. 이번 합의로 10월 중 미수 배당금 전액이 지급될 예정이며, 그동안 제기되었던 미수금 장기화 우려가 해소될 전망이다. [시사의창=송상교 기자]
[시사의창=송상교 기자] 한국전력(사장 김동철)이 중국 풍력사업에서 발생한 약 900억 원 규모의 미수 배당금을 산업통상자원부 및 주중 한국대사관과의 협력을 통해 사실상 전액 회수하게 됐다. 이번 합의로 10월 중 지급이 완료될 예정이며, 그동안 장기화 우려가 제기됐던 미수금 문제가 해소될 전망이다.
한전은 2005년 중국 국영기업 대당집단과 합작해 내몽고·요녕·감숙 3개 지역에서 1,024MW 규모의 풍력발전 사업을 운영해 왔다. 약 2,300억 원을 투자해 지분 40%를 보유 중이며, 중국 정부의 신재생 발전 보조금에 기반해 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2016년 이후 중국 내 신재생 설비 급증으로 보조금 지급이 지연되면서 합자법인의 현금흐름이 악화, 한전은 정상적인 배당금을 받지 못해 왔다. 지난해 말 기준 미수 배당금은 900억 원에 달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전은 산업부와 주중 대사관과 긴밀히 협력했다. 지난 8월 부산에서 열린 APEC 한·중 에너지 장관회의에서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중국 측에 조속한 해결을 공식 요청했고, 양국 고위급 회의에서 현안이 직접 논의되며 진전을 보았다.
그 결과 9월 초 한전은 첫 배당금 145억 원을 수령했으며, 이어 9월 23일 김동철 사장의 중국 출장 중 대당 신능원 고위 관계자와의 주주간 회의에서 나머지 753억 원의 10월 지급 확약을 받아냈다.
이에 따라 한전은 올해 안에 총 898억 원의 미수 배당금을 전액 회수하게 된다. 이는 해외사업 환경에서 기업 단독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제도적 장벽을 정부와 기업, 외교 당국이 삼각 협력 체계를 구축해 극복한 대표적 성과로 평가된다.
한전은 이번 성과를 계기로 중국을 포함한 해외 주요 시장에서 친환경 에너지 투자를 더욱 확대하고,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 적극 기여할 방침이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한전 #중국풍력사업 #배당금회수 #산업부 #APEC장관회의 #대당집단 #해외사업리스크 #글로벌에너지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