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 세계최초로 100W급 유리창호 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설치하여 도심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차세대 BIPV 기술 상용화에 나섰다.페로브스카이트 설치 사진[시사의창=송상교 기자]
[시사의창=송상교 기자] 한국전력(사장 김동철)이 세계 최초로 100W급 유리창호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설치하며 도심 건물 적용을 통한 차세대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기술 상용화에 본격 나섰다.
한국전력은 9월 4일 서울 한전 아트센터에 자체 개발한 유리창호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패널을 설치하고 가동을 시작했다. 이번에 설치한 패널은 15×15cm² 크기의 모듈 54장을 병렬 배열한 것으로, 최대 출력 100W를 달성해 35W 실내 분수대와 5W LED 조명을 동시에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
모듈 효율은 11~13%이며, 투과율은 30% 이상으로 외부 전경을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의 우수한 투광성을 확보했다. 또 KEPCO 로고를 활용한 스테인드글라스 디자인을 적용해 건축물 미관을 높이며 디자인 완성도까지 강화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차세대 BIPV 핵심 기술로 꼽힌다. 기존 실리콘 기반 제품 대비 저비용·고효율·경량·투명성 등에서 장점을 지니며, 새 정부의 「초혁신경제 15대 프로젝트」에도 포함된 국가 전략 사업이다.
한국전력은 2017년부터 연구를 시작해 소자 개발, 모듈 면적 확대, 패널 제품화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추진해 왔다. 현재는 100W급 실증·상용화 단계에 진입했으며, 200W급 패널 개발도 진행 중이다. 향후 박막 제작 고품질화, 모듈 내구성 확보, 양산 공정 최적화를 통해 2030년 한전 경기본부 신축 사옥에 시범 적용, 상용 건축물 최초 적용 사례를 만들 계획이다.
한국전력 김동철 사장은 “이번 설치는 도심 빌딩 적용 가능성을 입증한 것”이라며 “한전의 기술 공개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 제작사, 창호 제작사, BIPV 사업자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제로에너지빌딩 실현과 미래 BIPV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페로브스카이트 : 입방체 결정구조(ABX3)로 광활성층을 형성하고 박막으로 투광성을 가지며, 실리콘의 1/1,000 두께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물질
*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 태양광 모듈을 건축자재와 통합하여 발전하는 방식
|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한전 #페로브스카이트 #유리창호태양전지 #BIPV #차세대태양광 #제로에너지빌딩 #김동철사장 #100W태양전지 #KEP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