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지난 22일 2025년도 교육경비 지원사업의 성과를 되짚고 2026년도 계획을 확정하기 위한 민·관 교육발전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있다(고창군 제공)


[시사의창=최진수기자] 고창군이 지난 22일, 2025년도 교육경비 지원사업의 성과를 되짚고 2026년도 계획을 확정하기 위한 민·관 교육발전 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학부모 대표, 교장, 교사, 교육 전문가 등 13명의 위원들이 참여해 지역 교육의 발전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위원회는 단순한 예산 심의 기구가 아니다. 고창 교육의 미래를 좌우할 정책 방향과 지원 체계를 결정하는 중추 역할을 한다. 이번 회의에서도 그 무게감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2025년 성과, 맞춤형 학습 지원 정착

올해 고창군은 △코딩교육 △방과후 학교 △학교 밖 늘봄학교 △영어 학습 △수영 및 과학교실 등 다양한 학생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이들 사업은 지역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과 학습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방과후 및 늘봄학교 프로그램은 학부모들의 사교육 부담을 줄이고, 학생들에게 안정적이고 균형 잡힌 학습 환경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군이 강조한 ‘모두를 위한 교육’ 기조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진 것이다.

2026년 계획, 23개 사업, 39억 원 투입

회의의 핵심은 내년도 사업계획이었다. 고창군은 총 23개 사업, 39억 원 규모의 교육경비 지원계획을 논의했다. 여기에는 군 자체 추진사업과 고창교육지원청과의 협력사업이 모두 포함됐다.

내년 계획의 핵심 키워드는 “내실화”와 “맞춤형 지원”이다. 이미 운영 중인 프로그램을 더 깊이 있게 발전시키고, 학생 개인의 학습 수준과 관심사에 맞는 지원 방안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양적 확대가 아니라, 질적 성장을 겨냥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교육의 본질을 겨냥한 전략

고창군은 교육경비를 단순히 ‘지원금’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이는 지역 미래를 책임질 인재에 대한 투자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영식 부군수는 위원장 자격으로 “2025년 성과를 토대로 한 단계 더 발전된 교육지원 체계를 구축하겠다”며 “고창 학생들이 전국 어디서든 경쟁력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의 발언은 단순한 수사적 표현이 아니다. 고창군은 이미 교육을 지역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규정했고, 이번 심의위원회는 이를 실행에 옮기는 정책적 확약이라 할 수 있다.

교육은 눈앞의 성과보다 10년, 20년 뒤를 바라봐야 하는 장기적 과제다. 고창군이 내년 예산을 39억 원까지 확대 편성한 것은 지방 소멸 위기 시대, 교육이야말로 지역을 지탱할 유일한 힘이라는 인식의 반영이다.

다만, 사업의 양적 확대에만 치중할 경우 예산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내년 과제는 “어디에 얼마나 지원했는가”가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수준과 성장 가능성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라는 정성적 성과 측정이 돼야 한다.

고창군 교육발전 심의위원회의 결정은 단순히 한 해의 지원 계획이 아니라, 지역 사회의 미래를 설계하는 로드맵이다. 이제 중요한 것은 행정의 의지를 구체적 실행과 성과로 증명해내는 일이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교육발전심의위원회 #교육경비 #코딩교육 #방과후학교 #늘봄학교 #영어학습 #수영과학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