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이 ‘교육발전특구 발전방안 모색 포럼’을 통해 지역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을 위한 발전 전략을 논의했다. 사진은 광주광역시교육청 미래교육기획과 최성광 과장이 광주교육 발전특구 성과(우수사례) 발표하고 있다.(사진=송상교 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광역시교육청(교육감 이정선)이 ‘교육발전특구 발전방안 모색 포럼’을 통해 지역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을 위한 발전 전략을 논의했다.
22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번 포럼은 광주시와 함께 마련됐으며,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년도 운영 성과를 점검하고 인재 양성, 취·창업 지원, 정주 여건 조성 등 특구 정책의 안착 방안을 찾기 위해 기획됐다.
행사에서는 이건태 국회의원이 ‘지역 소멸 위기, 교육에서 답을 찾자’를 주제로 특강을 펼쳤다. 이어 교육발전특구 성과 공유와 함께 명진 광주시의회 교육문화위원장이 좌장을 맡아 지정토론이 진행됐다.
토론에는 김선성 광주고 교장, 김희수 광주과학기술원 AI대학원 교수, 김승훈 광주시청년위원회 위원장, 김은주 광주시학교운영위원장협의회 회장이 참여했다.
이들은 자율형 공립고 2.0 활성화, 교육발전특구 성과와 발전 전략, 청년 정주와 지역 상생, 학부모가 체감하는 공교육 혁신 및 돌봄 강화 등을 주제로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현장에서는 시민과의 질의응답 시간도 이어져 실질적 소통의 장이 마련됐다.
광주광역시 김영문 문화경제부시장은 “교육발전특구를 통해 광주의 강점인 통합돌봄, 인공지능(AI), 미래차 산업을 연계해 광주만의 인재 양성 사다리를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광주광역시교육청 이정선 교육감은 “1차년도 성과와 한계를 토대로 정책을 보완해 2027년 본지정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학생 한 명 한 명의 성장을 지역의 힘으로 이어가는 교육발전특구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광주형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교육청·대학·기업·공공기관이 협력해 지역 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 정주 여건을 종합 지원하는 체제로, 교육을 통해 인재를 키우고 다시 지역 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광역시교육청 #교육발전특구 #김대중컨벤션센터 #지역교육혁신 #공교육혁신 #인재양성 #정주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