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김성민 기자] 올해 추석은 10월 3일 개천절부터 9일 한글날까지 공식 휴일이 길게 이어지고, 개인 연차·임시공휴일 지정 여부에 따라 최장 9~10일 휴식이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긴 연휴에 돌발 상황을 막기 위해 송파구가 연휴 전날인 10월 2일부터 10일까지 9일간 ‘추석 종합대책’을 가동한다. 구는 재난 대응부터 민생·교통·진료·청소까지 행정 공백을 제로에 가깝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10월 3~9일 응급진료체계를 운영한다고 예고한 만큼, 구 차원의 사전·사후 대응 폭을 넓혀 지역 안전망을 촘촘히 보강한다.
핵심은 ‘상황판’이다. 구청 종합상황실을 중심으로 기능별 대책반을 묶은 ‘추석 종합상황실’을 24시간 가동하고, 주·야간 교대 325명이 즉시 대응체계를 유지한다. 재난·사고·민원 등 유형별 사건을 한 축에서 통제하는 컨트롤타워 방식으로, 단일 창구에서 접수→판단→현장조치를 끌어내는 구조다. 연휴가 길수록 피로와 공백이 중첩되기 쉬운 만큼, 실무 라인은 상시 보고·공유 프로토콜을 명문화해 속도전으로 대응한다.
재난 블록은 ‘선(先)점검-후(後)순찰’로 짠다. 태풍·집중호우 등 기상 변수에 대비해 풍수해대책본부를 열고, 대형 건축·공동주택 공사장, 집단가설물, 공원 등 재난취약지대를 사전 점검한다. 연휴 동안에는 현장 순찰 빈도를 평시보다 높여 위험요인을 조기에 제거한다. 이재민 발생 시 곧바로 쓸 수 있는 임시주거시설과 구호물품도 비축해 복귀 시간을 단축한다.
먹거리 안전선은 소비자가 몰리기 전 단계에서 당긴다. 명절 성수품을 다루는 유통·제조 취급업소 위생점검을 앞당겨 시행하고, 가격표시제 이행 여부와 주요 성수품 물가 흐름을 10월 1일까지 집중 점검한다. 수요가 급증하는 시점의 눈속임 가격표시나 위생 사각지대를 선제 차단하겠다는 포석이다.
복지와 취약계층 보호도 연휴 내내 이어진다. 경로당 176개소, 대한노인회 송파구지회, 노인의집 3개소에 위문품을 전하며, 노숙인 순찰을 강화한다. ‘긴 연휴에 더 외로운 이웃’이 생기지 않도록 현장 접점을 넓히는 방식이다.
생활불편은 ‘청소-교통’ 두 축에서 손본다. 쓰레기 배출 혼선을 막기 위해 사전 안내를 촘촘히 내보내고, 취약지역은 기동반이 직접 청소한다. 교통은 불법 주·정차와 심야 택시 불법행위를 함께 단속해 체증·민원을 줄인다. 주차난 완화를 위해 공영주차장 7곳, 학교 부설주차장 8곳, 공공시설 부설주차장 15곳을 무료 개방해 귀성·귀경, 지역 내 이동 수요를 분산한다.
의료 공백은 최소화한다. 응급의료기관과 더불어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을 각각 1,022곳, 578곳 지정·운영해 연휴에도 진료 접근성을 확보한다. 10월 6~7일 이틀간은 송파구보건소 1층 진료실에 비상진료반을 별도로 꾸려 경증·생활진료를 분담한다. 중앙정부 차원의 10월 3~9일 응급진료체계와 보조를 맞추되, 구는 전·후방을 덧대는 방식으로 틈을 메운다는 설명이다.
교통·치안·재난 등 전국 차원의 경계수위가 높아지는 명절 특성상, 지자체의 촘촘한 실행력이 체감 안전을 좌우한다. 송파구는 구민 안전 강화, 민생안전 지원, 교통이용 지원, 생활불편 해소, 공직기강 확립 등 5대 분야 19개 과제를 묶어 ‘끊김 없는 행정’을 구현하겠다고 못 박았다. 연휴가 길수록 리스크도 길어진다. 결국 답은 ‘준비된 일상’을 잃지 않는 데 있다는 판단이다.
서강석 구청장은 “이번 연휴가 긴 만큼 재난 대응부터 민생, 청소, 교통, 주차까지 구 역량을 총동원해 행정 공백을 만들지 않겠다”고 밝혔다. 연휴가 끝나도 연휴 같은 일상을 지켜내는 것이 지방행정의 존재 이유라는 메시지다. 구는 상황실을 중심으로 마지막 날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송파구 #추석종합대책 #비상근무 #응급의료 #무료주차 #물가안정 #생활쓰레기 #명절교통 #풍수해대책 #민생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