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새만금 조력발전 정책토론회–해수유통 확대와 조력발전, 새만금의 미래를 열다’에 참석한 안호영 위원장
[시사의창=김성민 기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안호영 위원장(전북 완주·진안·무주)이 주최한 ‘2025 새만금 조력발전 정책토론회–해수유통 확대와 조력발전, 새만금의 미래를 열다’가 지난 18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렸다.
토론회장에는 국무조정실,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새만금개발청, 전북특별자치도,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련 부처·기관이 총출동해 새만금 정비 해법을 한자리에서 맞췄다.
공동주최에는 박희승·신영대·윤준병·이성윤·이원택·이춘석·한병도 의원 등 전북 지역 국회의원 7명이 이름을 올렸다. 지역 정치권이 ‘해수유통 확대’와 ‘조력발전’이라는 두 축에 힘을 싣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결집한 셈이다.
안호영 위원장은 새만금 해수유통 확대와 조력발전 도입을 꾸준히 주장해왔고, 이를 대선 공약과 현 정부 국정과제로 끌어올렸다. 올해에는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새만금 조력발전 기본구상’ 반영을 주도하며 사업 추진의 디딤돌을 놓았다.
‘2025 새만금 조력발전 정책토론회–해수유통 확대와 조력발전, 새만금의 미래를 열다’ 토론회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에서는 △시화호 조력발전의 성과와 확대 가능성 △새만금호 수질 현황과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 △수질개선·지역경제·기후위기 대응을 묶는 조력발전 연계전략과 관리수위 현실화 등 실행 과제가 집중 논의됐다. 부처별 흩어진 논의를 한 공간에서 조율하고, 정부·국회·지자체·전문가·시민사회가 함께 해법을 설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안 위원장은 조력발전이 재생에너지 공급을 넘어 수질 개선, 전북형 일자리, 어민 소득, 생태관광까지 파급효과가 큰 ‘미래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부처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성과가 난다며, 국회가 협력과 조율의 연결고리 역할을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새만금의 난제를 ‘해수유통 확대+조력발전’으로 풀겠다는 정책방향을 공식화했고, 예산·절차·환경영향·어업권·관광 등 다변수 과제를 패키지로 다루는 컨트롤타워 구축 필요성도 부각했다. 전북의 균형발전 축을 새만금 에너지·환경 리모델링에서 찾겠다는 공감대가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
행사 영상은 안호영 의원 유튜브 채널에서 다시 보기가 제공되고, 토론회집은 의원 블로그를 통해 내려받을 수 있다. 이번 논의를 기점으로 부처 간 공조가 상시화되고, 새만금의 수질·에너지·지역경제를 함께 개선하는 프로젝트가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정책의제와 예산이 연동되는 ‘협업 트랙’이 깔린 만큼, 지속적 공조가 굳건해질 토대가 마련돼 있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새만금 #조력발전 #해수유통 #전북 #안호영 #국회토론회 #재생에너지 #수질개선 #생태관광 #지역균형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