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


[시사의창=김성민 기자] 허은아 전 대표가 이준석 의원의 ‘갈라치기·조롱 정치’에 제동을 걸었다.

그는 “AI 시대 국회가 할 일은 합성 이미지를 선동에 쓰는 게 아니라 부작용을 막는 제도 설계”라며, 과방위원인 이 의원이 스스로 반면교사가 됐다고 직격했다. 실제로 이 의원은 페이스북에 정치적 메시지의 AI 합성 이미지를 올려 논란을 키웠고, 허 전 대표는 공개적으로 “책임 있는 야당이라면 갈라치기 대신 대안을 제시하라”고 압박했다.

이 의원을 둘러싼 의혹·논란은 누적돼 있다. 2022년 국민의힘 윤리위는 ‘성상납 증거인멸 교사’ 관련 사유 등을 들어 당원권 정지 징계를 의결했고, 같은 해 추가 징계까지 이어졌다. 이후 당내 화합 차원에서 2023년 징계가 취소됐고, 형사 절차에서는 무혐의 취지 처분 보도도 이어졌지만, 정치적 책임과 설명을 둘러싼 논란은 끝나지 않았다.

민주주의의 마지막 방파제인 삼권분립을 놓고도 이 의원의 태도는 도마에 올랐다. 2024년 12월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 당시 이 의원은 국회 출입 통제로 본회의에 참석하지 못했고, 이 사안을 둘러싼 해명 공방이 대선 TV토론까지 번졌다. 표결 불참에 대한 이 의원의 해명은 공감을 얻지 못한 채 의혹을 키우고 있다.

대선 국면의 ‘젓가락 발언’도 파문을 남겼다. TV토론 발언을 둘러싼 비판이 이어졌고, 이 의원은 역공에 나섰지만 “막말·조롱 정치가 공론장을 좁힌다”는 비판 여론은 잦아들지 않았고 결국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된 상태다.

최근엔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으로 경찰 수사가 본격화됐다. 서울경찰청은 이 의원 관련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의 피의자 소환 조사를 진행했고, 방송·신문 등 다수 매체가 수사 상황을 보도했다. 이 사안은 ‘의혹’ 단계로, 수사 결과가 최종 판단을 가를 전망이다.

이준석 의원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AI 합성 사진을 올리고 "중국에 가보면 최고 지도자가 국가주석·당총서기·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모두 겸직하는 것이 그 나라 방식"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을 비판했다.
이어 "휴전선 위 북한에는 국무위원장·노동당 총비서·인민군 최고사령관을 겸직하는 지도자가 있지 않느냐"며 "어느 쪽 모델을 삼아도 이미 수십 년째 나름 검증된 방식이니 민주당이 꿈꾸는 세상과 잘 어울릴 것"이라고 이 대통령을 조롱했다.


반면 허은아는 기득권을 내려놓는 선택으로 노선을 분명히 했다. 그는 국민의힘 비례대표 ‘배지’를 반납(탈당과 동시에 의원직 상실)하고 개혁신당에 합류해 당 대표까지 맡았지만, 이준석계 다수의 당내 권력 다툼 속 당원소환으로 대표직을 상실했다는 법원 판단까지 겪었다. 그럼에도 민주당 입당을 택해 이재명 후보 지원에 나섰고, 새 정부 국정기획위원회 기획분과 위원으로 참여하며 청년·개혁 어젠다를 제도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허은아의 ‘민(주당에) 며들다’(민며들기)라는 짧은 단문과 라이브 소통은 스킨십 정치의 신호탄이었다. 이후 그는 국정기획위에서 ‘모두의 AI’ 등 디지털 정책 과제를 언론 인터뷰와 공식 채널로 알리며, 갈등의 언어가 아닌 정책의 언어로 승부를 걸고 있다.

청년정치는 나이로 증명하지 않는다. 책임과 공감, 그리고 대안으로 증명한다. 성상납 의혹 징계 이력, 계엄 해제 표결 불참, ‘젓가락’ 논란, 여론조사비 대납 수사까지 이어지는 이준석식 분열 프레이밍이 과연 청년정치의 길을 넓히는가. 노회한 언어유희가 공론장을 메우는 사이, 허은아는 배지를 내려놓고도 제도와 정책의 트랙으로 복귀했다. 조롱과 혐오로는 민주주의를 지킬 수 없고, 책임과 대안만이 청년정치의 길을 연다는 사실이 더 또렷해지고 있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허은아 #이준석 #청년정치 #갈라치기정치 #혐오정치 #AI합성사진 #AI윤리 #여론조사비대납의혹 #계엄해제표결 #젓가락발언 #국정기획위원회 #민며들다 #정치개혁 #삼권분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