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최진수기자] 부안군이 드디어 칼을 빼들었다. 지역 곳곳에서 얼어붙은 민생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민생안정지원금 지급이 15일부터 본격 시작됐다. 이번 지원금 지급은 단순 행정 절차를 넘어, 군이 직접 521개 마을을 찾아다니며 지급하는 파격적인 ‘찾아가는 행정 서비스’로 추진된다.

사진 - 부안군, 마을로 직접 찾아가는 민생안정지원금 지급 실시(부안군 제공)

군은 오는 9월 17일까지를 ‘집중 지급기간’으로 설정, 각 읍·면 전 마을을 방문해 지원금을 신속히 지급하고 파급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만약 이 기간에 수령하지 못한 주민들은 9월 18일부터 10월 31일까지 주소지 읍·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가능하다. 단, 지원금의 사용기한은 11월 30일까지로 제한되며, 기한 내 미사용 금액은 전액 군비로 환수된다.

선불카드로 지급…소상공인 살리는 맞춤형 설계

지원금은 무기명 선불카드로 지급된다. 사용처는 부안군 내 신용카드 단말기가 설치된 모든 사업장으로 제한돼 있어, 소비가 지역경제로 순환되도록 고안됐다. 특히 기존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달리 연 매출 30억 이상 점포와 하나로마트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은 소비자 편의를 크게 높였다.

다만 사용이 제한되는 업종도 있다. 유흥업종, 주류판매점,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 등), 온라인 쇼핑, 상품권·귀금속 구매, 교통요금, 공공요금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는 정책 취지에 맞게 실질적 민생 소비를 촉진하고, 지역 내 영세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에게 도움을 주려는 의도다.

사진 - 부안군, 마을로 직접 찾아가는 민생안정지원금 지급 실시(부안군 제공)

“군민 하나 되고, 지역경제 살아난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이번 민생안정지원금이 단순한 금전 지원을 넘어, 하나 되는 군민, 희망찬 부안경제의 새로운 동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부안군 경제를 활성화하고 군민 생활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최근 소비 위축과 경기 침체로 한계에 내몰린 지역 상권을 실질적으로 살리기 위한 즉각적이고 공격적인 대응책이다. 행정이 주민 곁으로 직접 찾아가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은 기존 관행을 뛰어넘는 발상의 전환으로 평가된다.

주민 눈높이에 맞춘 ‘체감형 정책’

부안군의 이번 지원금 지급은 단순한 재정 투입이 아니다. 주민들이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하며, 정책의 체감도를 극대화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특히 마을로 직접 찾아가 지급하는 방식은 고령층이나 교통 취약계층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군은 이번 지원금 지급을 계기로 ‘찾아가는 행정’, ‘군민 맞춤형 지원’이라는 행정 철학을 구체화하며, 향후 더 다양한 분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부안군의 ‘민생안정지원금’ 지급은 단순한 현금성 지원이 아니다. 군민 삶의 현장 속으로 행정이 들어가고, 지역경제가 살아나는 새로운 실험이다. 부안군의 선택은 분명하다. 경제는 현장에서 살리고, 행정은 주민 곁에서 호흡한다. 이번 조치가 부안군 경제를 다시 뛰게 하는 기폭제가 될지 주목된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부안군 #민생안정지원금 #찾아가는행정 #군민맞춤형지원 #유흥업종 #주류판매점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 등)#온라인쇼핑 #상품권 #귀금속구매 #교통요금 #공공요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