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 = 조상연 기자] 경기도가 기후위기로 인한 집중호우와 같은 극한기상에 대응하기 위해 하천과 야영장을 중심으로 한 ‘재난대응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도는 10일 이번 대책을 발표하며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경기도청 전경(경기도 제공)


최근 기후위기와 해수 온도 상승으로 좁은 지역에 예보를 초과하는 폭우가 집중되는 현상이 잦아지고 있다. 실제 지난 7월 가평 지역에서는 예보량의 2.9배에 달하는 233.5mm의 비가 쏟아졌고, 시간당 100mm 이상의 극한 호우도 올해에만 4차례 기록됐다. 이에 따라 기존의 강우량 기준 자동 방송 체계만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기도는 자연재난과, 하천과, 관광산업과가 참여하는 전담 조직(TF)을 구성해 맞춤형 대책을 수립했다. 우선 홍수·호우 예비특보 단계부터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경보 방송을 실시해 도민들의 자발적 대피를 유도한다. 또한 기존 한강홍수통제소 지정 28개 지점 외에 취약지 10곳을 추가해 홍수주의보 발령 시 현장 예찰을 강화한다.

야영장의 경우 시군에서 운영하는 자동 음성발송 시스템(VMS)을 활용해 관리인에게 특보 상황을 즉시 전달하고, 관리인이 이용객에게 대피를 안내하는 체계를 마련한다. 입실 시에는 재난문자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행동요령 교육과 안내 포스터도 제공해 현장 대응력을 높일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적 개선도 추진된다. 경기도는 정부와 협력해 관광산업법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호우·산사태 경보 시 의무 대피 기준을 명확히 하고, 하천 홍수특보 지점에는 현장 중심 행동 매뉴얼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2026년까지 재난 예·경보시설을 350개로 확대하고, 침수 위험 하천변 27곳에는 CCTV를 설치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전력·통신망 유실 상황에서도 방송이 가능한 댁내방송 시스템도 도입해 산간·외딴 지역 안전망을 확충할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7월 가평 피해와 같은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골든타임 확보를 최우선으로 하는 대응 체계를 구축하겠다”며 “도민이 위험 기상 상황에서 스스로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재난 대응 문화를 확산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경기도 #기후위기 #재난대응 #집중호우 #홍수예방 #야영장안전 #골든타임 #재난관리 #재해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