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고창군은 9월 4일부터 6일까지 서울 서초구 양지빌딩에서 열린 ‘2025 전북특별자치도 귀농귀촌 상담홍보전’에 참가해 도시민들의 관심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며, 농촌 정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고창군 제공)
[시사의창=최진수기자] 농업의 가치가 다시금 재조명되는 시대, 고창군이 귀농귀촌의 중심 무대로 떠오르고 있다. 고창군은 9월 4일부터 6일까지 서울 서초구 양지빌딩에서 열린 ‘2025 전북특별자치도 귀농귀촌 상담홍보전’에 참가해 도시민들의 관심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며, 농촌 정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전북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전북특별자치도농촌사회경제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가 주관한 대규모 홍보전으로, 13개 시군이 참여해 귀농귀촌의 문을 활짝 열었다.
맞춤형 상담으로 실질 해법 제시
고창군은 이번 행사에서 도시민 개개인의 상황과 요구에 맞춘 1대1 맞춤형 상담 서비스를 운영했다. 단순한 홍보에 그치지 않고 귀농귀촌 과정에서 현실적으로 부딪힐 수 있는 애로사항을 함께 짚어내며, 실질적인 대안과 지원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는 귀농을 꿈꾸지만 불안과 고민을 안고 있는 도시민들에게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선 든든한 ‘안내자’ 역할을 한 셈이다.
특히 상담 현장에서는 주거 마련, 농지 확보, 초기 영농기술 습득, 지역 공동체 적응 등 다양한 고민이 쏟아졌고, 고창군은 그에 맞춘 지원정책과 경험 기반의 노하우를 제시하며 “농촌 정착은 막연한 도전이 아니라 현실 가능한 선택”임을 강조했다.
다채로운 프로그램… ‘농촌의 미래’를 체감하다
행사장에서는 상담 부스 외에도 귀농귀촌 설명회, 스마트팜 토크콘서트, 체류형 쉼터를 활용한 ‘4도 3촌하기’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콘텐츠가 이어졌다. 단순한 농사 체험이 아닌, 첨단 기술과 접목된 스마트농업의 청사진을 제시해 젊은 세대의 눈길을 끌었으며, 단기 체류형 모델을 통한 농촌 체험은 귀농귀촌의 문턱을 낮추는 효과를 거뒀다.
수도권 공략, 체험형 사업으로 도시민 유치 강화
고창군은 이번 상담홍보전에 그치지 않고, 수도권을 겨냥한 대형 귀농귀촌 박람회 참가와 지역 체험 프로그램 확대 운영 등 다각적인 전략을 추진 중이다. 단순히 사람을 불러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정착 후 안정적인 삶’을 위한 지원 체계 구축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이는 도시민 유치가 단기 성과가 아니라 장기적 지역 활력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고창군의 확고한 철학을 보여준다.
“도시민이 꿈꾸는 농촌, 해답은 고창”
오성동 고창군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이번 상담홍보전을 통해 고창군의 다양한 지원정책을 널리 알리고, 더 많은 도시민이 새로운 삶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의 발언은 단순한 수사가 아니라, 실제 정책과 사업으로 뒷받침되는 고창군의 진정성을 드러냈다.
전북특별자치도의 남쪽 관문, 고창. 이곳은 단순한 농촌이 아니다. 역사와 전통, 그리고 미래 농업이 공존하는 현장이자, 도시민이 꿈꾸는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귀농귀촌의 미래를 묻는다면 답은 명확하다. 그 길의 중심에는 고창이 있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고창군 #귀농귀촌 #주거마련 #농지확보 #초기영농기술 #지역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