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지난 4일 전북특별자치도체육회가 제14차 이사회를 개최 하였다(체육회 제공)
[시사의창=최진수기자] 전북특별자치도체육회가 다시 한 번 체육계의 패러다임을 흔들고 있다. 이미 전국 최초로 체육영재선발대회와 체육역사기념관을 추진하며 스포츠 정책의 혁신성을 입증한 도 체육회가 이번에는 은퇴 선수와 지도자들의 진로 문제 해결을 위해 칼을 빼 들었다. 전북을 빛낸 체육 인재들이 고향을 떠나지 않고 전북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특별채용 자격 요건을 대폭 확대한 것이다.
지난 4일 열린 제14차 이사회에서 의결된 이번 개정안은 단순한 규정 손질이 아니다. 전북 체육계가 오랜 세월 외면해왔던 현실 문제, 즉 ‘은퇴 후 진로 단절’을 정면 돌파하려는 정책적 선언이다.
■ 올림픽·아시안게임 입상자, 7급 특별채용 문 열렸다
이번 개정의 핵심은 특별채용(경력경쟁) 신규임용 자격 요건 추가다. 우선 7급 경력 특별채용에 올림픽·아시안경기대회·세계선수권대회에서 3위 이내 입상자를 포함시켰다. 단, 입상 당시 반드시 전북 소속 선수여야 한다는 단서가 붙었다. 이는 단순한 스펙 인정이 아니라 ‘전북을 빛낸 인재’라는 정체성을 전제로 한 조치다.
■ 10년 이상 뛴 선수·지도자, 8급 특별채용 길도 열려
8급 경력 기준에도 변화가 있다. 전북 출신으로서 도내 중·고교, 대학교, 직장운동경기부에서 10년 이상 선수 및 지도자로 활동한 경력자도 특별채용 지원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 역시 타 지역 경력자는 제외된다. ‘전북 체육의 뿌리를 지킨 이들’에게 기회를 주겠다는 확고한 원칙이 담겼다.
■ 선수들의 ‘울며 겨자먹기식 탈출’ 막겠다
정강선 도 체육회장은 “경기력 향상과 훈련환경 조성만큼이나 불확실한 미래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체육회의 책임”이라며 “전북도, 도의회, 교육청과 긴밀히 협력해 선수들의 안정적인 미래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겠다”고 못 박았다.
실제로 지금까지 전북을 빛낸 다수의 선수들이 은퇴 후 일자리를 찾지 못해 수도권이나 타 시도로 떠나는 것이 관행처럼 반복돼 왔다. 이번 개정은 이런 구조적 문제를 차단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상징적인 첫걸음이다.
■ 체육계 안팎의 환영과 기대
이사회 현장은 환영 일색이었다.
박성현 이사(전북도청 양궁감독·올림픽 금메달리스트)는 “선수들에게 동기부여가 될 뿐 아니라 전북 체육의 지속성을 확보하는 제도”라고 평가했다.
임미경 부회장(익산병원 행정처장·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역시 “전북을 떠나야만 했던 선수들을 보며 안타까웠는데, 마침내 현실적 대책이 마련됐다”며 적극 지지를 보냈다.
이번 전북체육회의 결정은 단순히 채용 문을 넓히는 차원을 넘어선다. 선수의 성적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은퇴 후의 삶이다. 땀과 열정으로 전북의 위상을 높인 인재들이 고향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제도화한 것은 전국 어디에도 없는 혁신적 시도다.
그동안 지방 체육계의 고질병은 ‘인재 유출’이었다. 성과를 내고도 고향에 뿌리내리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전북체육회의 이번 결정은 그 고리를 끊는 첫 칼질이며, 체육 행정이 경기장 밖에서도 선수들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제 과제는 실질적 실행이다. 규정 개정이 보여주기식에 머문다면 무용지물이다. 전북체육회가 말한 대로 도와 도의회, 교육청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제도를 현실에 뿌리내리게 해야 한다. 전국 최초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이번 조치가 전북 체육 생태계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기록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북특별자치도체육회 #체육영재선발대회 #체육역사기념관 #인재유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