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베이징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고 있다. (사진_KCNA/로이터)
[시사의창=김성민 기자] 북한 김정은과 중국 시진핑이 지난 4일 밤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두 정상의 대면은 6년여 만으로, 양측은 우호와 협력 강화를 공개적으로 확인했다. 중국 관영 보도와 한국 방송 보도에 따르면 회담은 베이징에서 성사됐고, 김정은은 5일 귀국길에 올랐다.
회담의 메시지는 선명했다. 조선중앙통신을 인용한 로이터에 따르면 김정은은 중국의 ‘핵심이익’ 수호를 지지하겠다고 밝혔고, 중국 측은 북·중 간 전략적 소통과 조율을 더 긴밀히 하겠다고 했다. 즉, 정치·안보 사안에서 보폭을 맞추고 경제 영역에서도 상호 보완을 확대하겠다는 신호가 읽힌다.
이번 만남은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대규모 열병식과 정상들의 동시 등장 직후 이뤄졌다. 김정은은 푸틴과 함께 공개석상에 나란히 서며 중·러와의 연출 효과를 극대화했고, 이튿날 시진핑과의 회담으로 삼각 구도의 ‘정치적 무대’를 마무리했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의제의 중심엔 ‘공조의 복원’이 있었다. 중국은 '심도 있는 대화'를 예고했고, 실제로 회담 직후 양측 매체는 우호와 협력의 재확인을 집중 부각했다. 중국의 대북 제재 이행 강도와 북·중 경협 재개 속도가 향후 지표가 될 전망이며, 시진핑의 답방 가능성도 관측됐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딸 김주애가 25년 6월 24일 북한 원산에서 열린 원산 갈마해안관광지구 준공 기념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_KCNA/로이터)
현장에서 당장 주목받는 건 ‘베이징–단둥–평양’ 라인의 재가동 수준이다. 북·중 무역의 관문인 단둥–신의주 축은 팬데믹 이후 화물열차 재개→간헐 중단→부분 정상화 흐름을 거쳐 왔고, 두만강 축(툰먼–남양) 교량 사업 재가동 정황도 관측됐다. 물류가 살아나면 식량·의약품·비료·산림·경공업 부품과 같은 생활·기초 물자가 먼저 움직이고, 뒤이어 광물·수산물·섬유 등 교역 품목군이 넓어질 가능성이 크다.
한국에 미칠 파장은 단기와 중기로 갈린다. 1개월 안(9월~10월)에는 북·중 ‘우호 연출’의 관성으로 접경과 서해상 전술행동이 잦아질 수 있고, 대외 발언 수위도 높아질 소지가 있다. 3개월 안(연말 전후)에는 북·중 화물 운송 빈도 변화와 품목 다변화가 통계에 반영되며, 비료·사료·광물·비철 분야의 국내 가격 기대를 자극할 수 있다. 6개월 안(내년 1분기)에는 희소금속·배터리 전구체·철강 원재료 등 중국발 공급망 변동성이 국내 제조업의 조달·가격 전략을 시험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러 군수지원 의심 루트와 대중 제재이행의 경계선이 다시 논란이 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정부와 산업계의 체크포인트는 분명하다. 첫째, 접경·서해 NLL 인근 군사행동 패턴과 통신·심리전 수위를 상시 모니터링할 것. 둘째, 단둥·두만강 축 물류 신호(열차 편수, 통관 품목, 트럭 통과 건수)를 주간 단위로 추적할 것. 셋째, 배터리·소재·비료·사료·철강 원자재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대체 소싱을 즉시 점검할 것. 넷째, 대북 제재 레짐 내 허용 영역에서의 인도·보건 협력 채널을 재정비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확보할 것. 북·중이 ‘정치적 우호’를 ‘실물 교역’으로 전환하는 속도가 한국의 안보·경제 변수를 동시에 흔들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결국 이번 베이징 북·중 정상회담은 ‘상징의 복원’과 ‘실물의 예고’를 동시에 담았다. 무대는 베이징, 관문은 단둥, 효과는 평양으로 이어진다. 변수의 방향을 가늠할 잣대는 말보다 물류와 가격, 빈도와 품목, 행동과 후속 일정이며, 그 모든 신호가 향후 몇 달 한국의 외교·안보·산업 전략을 압박할 것이라는 점만은 분명하다. 지금 필요한 건 속도보다 적확한 모니터링과 선제적 대비라는 사실이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북중정상회담 #김정은 #시진핑 #베이징 #단둥 #평양 #전략적공조 #경제협력 #공급망 #한반도정세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