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지난 여름 극한호우에 따른 피해 복구를 위해 총사업비 822억원을 긴급 투입, 시설 복구와 시민 생활안정 지원에 나선다. 특히 신속한 민생안정을 위해 생활안정지원금을 추석 전 지급키로 하고, 행정절차를 최대한 단축할 방침이다.광주시는 또 시민 긴급 지원과 함께 침수피해 재발 방지를 위한 단계별 근본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시사의창=송상교기자]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지난 여름 두 차례의 극한호우로 피해를 입은 시민들을 위해 총 822억 원을 긴급 투입, 시설 복구와 생활안정 지원에 나선다.
광주광역시는 특히 추석 전까지 피해 주민들에게 생활안정지원금을 지급하기 위해 행정 절차를 대폭 단축할 방침이다.
강기정 시장은 4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5개 자치구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호우 피해 복구와 침수 예방 대책을 통해 시민의 안전과 생활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시민 생활안정 최우선
광주광역시는 사업비 822억 원 가운데 공공시설 복구에 564억 원, 주민 생활안정 지원에 258억 원을 투입한다.
주택 침수 세대는 최대 900만 원(재난지원금 700만 원, 의연금 200만 원), 소상공인은 최대 1000만 원(재난지원금 800만 원, 구호기금 200만 원)을 지원받는다. 이는 기존보다 두 배가량 확대된 규모다.
재원은 국비 425억 원, 시비 143억 원, 구비 232억 원, 기타 22억 원으로 마련됐으며, 광주시는 피해 주민 지원금을 추석 전까지 신속하게 지급 완료할 계획이다.
▶3단계 근본 예방대책 추진
광주광역시는 호우 피해의 근본적 예방을 위해 3단계 대책을 병행 추진한다.
1단계 긴급 대책으로는 광주상생카드 특별할인(53억 원), 신안교 배수구 설치 및 펌프 설치(11.5억 원), 차수판 1300곳 설치(40억 원) 등 104억 원 규모의 응급 조치를 진행 중이다.
2단계 중기 대책으로는 신안교 구조 개선(600억 원), 우수저류시설 설치(854억 원),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541억 원), 하천 주변 저지대 배수펌프 신설(805억 원), 하수도 정비 중점관리사업(1549억 원) 등 총 4349억 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3단계 장기 대책으로는 양동 복개상가(1조738억 원)와 서방천 복개도로(6000억 원)의 하천 복원 사업과 우수저류시설 확충이 포함된다. 이는 도심 내 복개하천의 유수 기능을 회복해 침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다.
강기정 시장은 “극한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시민들께 다시 한 번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신속한 복구 지원과 근본적 재난예방시설 구축을 통해 재난에 안전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광역시 #호우피해복구 #침수예방 #시민생활안정 #재난안전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