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소순일기자] 장수군이 천천–장수IC 연결도로 공사 과정에서 금강 상류지방 최대 규모의 마한 취락지를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금강 상류 최대규모 마한 취락지(계남면 화양리 일원서 주거지 63기 등 확인)


이번 조사는 장수군이 재단법인 전라문화유산연구원(조사단장 김미란)과 계약을 체결하고 계남면 화양리 10-1번지 일원 ‘장수 침곡리 유물산포지 G’에서 시굴 9,814㎡, 발굴 5,780㎡ 규모로 매장유산을 조사한 결과다.

발굴 결과, 원삼국시대 마한 취락으로 추정되는 주거지 63기, 지상건물지 10기, 구상유구 8기, 수혈 3기가 드러났으며, 이는 장수 지역에서 확인된 마한 취락 가운데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 특히 집선문·승석문이 새겨진 회색 경질토기가 다수 발견되면서 유적의 형성 시기가 4~5세기로 추정된다.

주거지는 (말각)방형계 평면이 주류를 이루며 일부 타원형 구조도 함께 확인됐다. 내부에서는 점토식 부뚜막, 주공, 벽구, 장타원형 수혈 등이 드러났고 장란형 토기, 심발, 시루, 호, 완, 주구토기뿐 아니라 소량의 철기류, 방추차, 곡옥거푸집 등이 출토돼 고대 생활상을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

유적이 위치한 마무산 남동사면은 유천과 장계천이 합류해 금강으로 이어지는 수계의 핵심 요충지로, 고대 교통과 생산의 중심지 역할을 했을 것으로 평가된다.

최훈식 군수는 “이번 발굴은 장수군이 고대사회의 중추적 지역이었음을 확인시켜 준 의미 있는 성과”라며 “역사문화권 특별법 5관왕의 위상에 걸맞게 장수군의 정체성과 가치를 널리 알리는 계기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시사의창 소순일 기자 antlaandj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