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경계선은 유아기에 형성되기 시작한다. 건강한 가정에서 자란 아이는 개별성을 가지는 데 도움을 받아 다른 가 족 구성원과 구별되는 고유한 자아 개념을 발달시킨다. -본문 중에서-
앤 E. 캐서린 지음 ㅣ 정화숙 , 김미자 번역 ㅣ 하나의학사
[시사의창=편집부] 최근 데이트나 대화를 마친 뒤 불편하거나 침해당했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는가? 배우자, 자녀, 부모, 직장 상사와의 관계에서 적절한 한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찾고 있는가? 이 책은 자신과 타인을 더 잘 이해하고 싶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경계를 설정하고 존중하는 데 꼭 필요한 안내서이다.
피부에 상처가 나면 통증과 손상이 생기듯, 신체적 · 정서적 · 성적 경계가 침해되었을 때도 우리 몸과 마음에는 깊은 상처가 남는다. 과거의 경계 침해 경험으로부터 회복하고, 타인의 경계를 존중하며, 앞으로의 삶에서 건강한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에는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트라우마, 유해한 관계, 중독, 아동기 부정적 경험의 이력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그렇다.
전 세계 10만 부에 가까운 판매를 기록한 이번 책을 통해, 저자는 수십 년간 치료사로서의 개인적 · 전문적 경험과 심각한 경계 침해를 겪은 후 회복해낸 사람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누가’, ‘무엇을’, ‘왜’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경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돕는 이 소중한 안내서를 전한다. 이는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권리를 지키고, 보다 건강한 관계를 만들어가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