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은 터질 수 없는 대신 찢어질 수 있다. 그렇다고 패닉에 빠지지는 마라. 방광 파열은 매우 드문 일이고, 소변을 오래 참는다고 해서 일어나지는 않는다. 소위 방광 파열은 일반적으로 외부의 영향 때문에 발생한다. -본문 중에서-
비르기트 불라 지음 ㅣ 강명순 번역 ㅣ 열린책들 펴냄
[시사의창=편집부] 20대 중반 갑작스레 방광염을 앓게 되어 블로그에 자신이 겪는 오줌보 문제를 하나씩 올리기 시작하여 여성들에게 열광적인 반응을 끌어내고 결국 방광 전문가로서 글을 쓰게 된 독일의 잡지 편집자 비르기트 불라의 《여자들은 왜 화장실에 자주 갈까?》가 출간되었다. 30분에 한 번씩 화장실에, 그것도 다급하게 가야 하게 된 이후로 자타 공인 방광 전문가가 된 비르기트 불라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이 겪은 시련들을 우리와 공유하고자 한다.
또한 〈방광에 문제가 있는 모든 여성〉을 위해 방광이 어떤 기관인지, 얼마나 예민한지, 얼마큼 많은 일을 처리하는지 샅샅이 파헤친다. 소변을 자주 보는 사람의 일상생활은 어떨까? 그럴 때는 어떤 의사를 찾아가야 할까? 병원에 가면 또 무슨 일이 일어날까? 검사는 어떤 식으로 진행되고, 어떤 치료법들이 있을까? 그런 치료를 받을 때 어떤 느낌이 들까? 이런 질문들에 대한 답변 말고도 의사들이 항상 알고 있는 것은 아닌 해결 방안들도 제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제는, 소변을 생산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일을 하는 민감하고 아름다운 기관, 방광에 관해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할 때다. 왜 우리는 방광에 관한 무수한 질문들을 터부시하는가? 방광염은 여성들한테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감염증이며, 심지어 방광염 환자 네 명 중 하나는 지속적으로 재발하는 만성 방광염에 시달린다. 그런데도 방광염 환자들은 대부분 이 질환을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다. 결국 방광 탐구자로서 스스로 조사하고 쓰게 된 《여자들은 왜 화장실에 자주 갈까?》는 여성들이 늘 궁금해하면서도 누군가에게 물어볼 엄두조차 내지 못했던 오줌보 문제에 대해 세세하면서도 친절하게 알려 준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