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일제강점기 유적의 보존·활용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전남도는 그동안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 전쟁 수행을 위해 구축된 각종 군사·생활·통치 시설을 체계적으로 발굴·보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을 추진했다. 사진은 구 목포부청 방공호 내부이다.
[시사의창=송상교기자]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일제강점기 유적의 보존과 활용 체계를 한층 강화한다.
단순 보존에 그치지 않고, 역사교육과 관광 자원으로의 연계를 모색해 아픈 역사를 기억하는 동시에 지역발전 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전라남도는 지난 2018년 「전라남도 일제강점기 유적 발굴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고, 2020년 연구용역을 통해 군사작전 관련 85개소, 강제동원 310개소, 통치시설 68개소, 생활문화 137개소 등 총 600개소의 현황을 정리했다. 이 가운데 76건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돼 관리되고 있다.
대표 사례로는 무안 망운면과 현경면 일대의 비행장 격납고, 방공호, 방공포대와 구 목포부청 서고 및 방공호, 여수 마래 제2터널 등이 있다. 전남도는 이들 유적지에 안내판을 설치하고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구술 기록을 축적하는 등 기초관리와 역사교육 자원화에 힘써왔다.
최근 서남해안 일대에서 일본군 진지와 지하시설 등 미조사 유적이 추가로 확인됨에 따라, 도는 학술연구용역을 추진해 이들 유적의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재평가하고 체계적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다크투어리즘, 기념관 조성, 전시 등과 연계해 후세 교육과 지역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전라남도 강효석 문화융성국장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처럼 아픈 과거를 철저히 기록하고 보존하는 것이 도민과 후세에게 올바른 역사 인식을 심어주는 길”이라며 “앞으로도 연구와 제도적 장치를 강화해 일제강점기 유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전라남도 #일제강점기유적 #문화유산보존 #강제동원역사 #다크투어리즘 #역사교육 #광복80주년 #전남관광자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