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철도역사를 품은 순천 조곡동 철도문화마을이 ‘살아보는 여행’과 ‘웰니스 콘텐츠’를 접목한 도심 체류형 관광지로 재조명되고 있다. 순천시는 원형 보존된 철도문화 자산과 관사 시설을 활용해 도심 속 지속가능한 관광거점을 조성해 왔으며, 민간위탁 운영기관과 협력해 ‘머무는 여행지’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사진은 철도문화체험관
[시사의창=신민철기자] 100년 철도역사를 품은 순천시 조곡동 철도문화마을이 ‘살아보는 여행’과 ‘웰니스 콘텐츠’를 접목한 도심 체류형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다.
순천시(시장 노관규)는 원형 보존된 철도문화 자산과 관사 시설을 활용해 생활형 관광지를 조성해왔으며, 민간위탁 운영기관과 손잡고 머무는 여행지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
조곡동 철도문화마을은 1936년 전라선 개통과 함께 조성된 철도관사촌으로, 전국 5대 철도관사촌 중 유일하게 원형이 유지된 곳이다. 운동장, 병원, 수영장 등 근대식 복지시설을 갖춰 ‘근대형 신도시’라 불렸던 이곳은 현재 50여 가구의 관사가 남아 일부는 게스트하우스와 철도박물관으로 활용된다.
철도문화마을의 핵심 공간은 철도마을박물관, 철도문화체험관, 기적소리 전망대, 관사 1·2호, 게스트하우스 등 6곳이다. 박물관은 생활 유품과 순천역 변천사, 승차권 및 철도 직원 복장 등을 전시하며, 체험관에서는 어린이기차, 4D 기차체험 등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옛 배급소 건물은 카페와 모임 공간으로 활용되고, 철도 벽화는 교육 공간 역할을 한다.
연간 방문객은 2019년 977명에서 2024년 3만 명 이상으로 급증하며 순천의 대표 관광지로 성장했다.
100년 철도역사를 품은 순천 조곡동 철도문화마을이 ‘살아보는 여행’과 ‘웰니스 콘텐츠’를 접목한 도심 체류형 관광지로 재조명되고 있다.시는 원형 보존된 철도문화 자산과 관사 시설을 활용해 도심 속 지속가능한 관광거점을 조성해 왔으며, 민간위탁 운영기관과 협력해 ‘머무는 여행지’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사진은 철도문화체험관을 방문한 어린이들이 기차의 역사에 대한 영상을 시청중이다
특히 민간 협력이 철도문화마을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색다른녀석들협동조합은 관사 1·2호를 숙박시설로 운영하며 걷기 명상, 리추얼 노트, 요가·비누 만들기, 로컬 여행지도 제작 등 체류형 웰니스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또한 게스트하우스는 순천에코칼리지 기숙사로 활용되며, 죽도봉공원 산책로와 연계해 ‘걷기 명상 코스’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시는 민간의 창의성과 행정의 지원을 결합해 도심 속 ‘쉼과 체류’를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관광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철도문화마을은 숙박·체험·해설·자연이 어우러진 도심형 관광지”라며 “앞으로도 민관 협력을 확대해 순천만의 웰니스 관광 거점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신민철 기자 skm1006@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순천시 #철도문화마을 #웰니스관광 #도심체류형여행 #민관협력 #지속가능관광 #순천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