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김성민 기자] 전북혁신도시 공공기관 추가 이탈 조짐에 급제동이 걸렸다.
농촌진흥청이 국립식량과학원 일부 식품 관련 부서를 수원으로 옮기려던 방침을 지난 22일 “재검토”로 선회했다. 지역 여론과 정치권 반발, 균형발전 훼손 논란이 한꺼번에 작동한 결과다. 농진청은 보도자료에서 “지역균형발전 저해, 연구역량 저해 등 외부 우려를 고려해 푸드테크소재과 등 일부 부서의 수원 이전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논란의 핵심은 식생활영양과·푸드테크소재과 등 식품 연구 기능을 전주(전북혁신도시)에서 수원으로 옮기고, 반대로 수원에 남아 있던 병해충·재배환경 일부 기능을 전주로 들이는 ‘맞교환’식 조정 계획이었다. 연구 효율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전북도와 도의회, 지역 언론은 “혁신도시 취지와 국가 균형발전 기조에 반한다”고 일제히 제동을 걸었다. 결국 농진청이 이전 배치 자체가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며 방향을 접은 셈이다.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정읍·고창)은 전날(21일) 농진청 책임자를 불러 “지역균형발전 훼손”을 강하게 문제 삼았고, 22일 재검토 발표 직후 “만시지탄이지만 환영한다. 수원에 남아 있는 부서까지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해 농생명산업 수도 전북과 농진청이 시너지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 일간지 인터뷰와 성명에서도 같은 취지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전북 지역 사회는 ‘혁신도시 공공기관 되돌리기’에 특히 민감하다. 공공 R&D의 축인 농진청이 추가로 수도권 회귀를 시도할 경우, 인력과 예산, 협력 네트워크가 함께 빠져나가 혁신도시 생태계가 약화된다는 우려가 컸다. 이번 재검토로 ‘수원 이전’은 멈췄지만, 전북도는 “재발 방지”를 공식 의제로 올리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관건은 후속 조치다. 농진청이 밝힌 대로 ‘연구역량 저하 우려’를 해소하려면, 기능 배치 원칙과 평가 근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해관계자와 정례 소통 창구를 마련해야 한다. 윤준병 의원의 주문처럼 ‘수원 잔류 부서의 전북 이전’까지 제도화하려면, 부처 간 합의와 인력 재배치 로드맵, 장비·실험 인프라 이전 지원책이 함께 따라붙어야 한다. 전북혁신도시에 뿌리내린 농생명 클러스터의 지속 가능성은 이번 후속 설계에 달려 있다. 재검토로 멈춘 시계를 ‘균형발전’ 원칙에 맞춰 다시 맞출 때다. 지금 필요한 것은 정치적 선언이 아닌 실행 계획이다. 그렇게 해야만 지역과 국가 R&D가 함께 커진다. 결국 균형은 방향이 아니라 결과로 증명되어야 한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농촌진흥청 #수원이전 #전북혁신도시 #윤준병 #균형발전 #국립식량과학원 #푸드테크소재과 #전주잔류 #수도권과밀완화 #지역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