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광산구의회 박해원 구의원(더불어민주당, 첨단1·2동)이 저장강박 의심가구 주거환경 개선사업에 동참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광주광역시 광산구의회 박해원 구의원(더불어민주당·첨단1·2동)이 저장강박 의심가구 주거환경 개선사업에 직접 참여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지원을 받은 송정동 거주 A 어르신은 저장강박 증세와 더불어 장애와 거동 불편으로 전동휠체어에 의존해 생활한다. 생계 유지를 위해 고물을 수거해왔지만 집안 곳곳에 쌓인 생활쓰레기와 폐기물로 인해 주거환경이 심각하게 악화됐고, 가족 갈등은 물론 건강마저 위협받는 상황에 놓였다.
이에 박해원 구의원은 광산구청, 광산구자원봉사센터, 광주장애인권익옹호기관, 특수청소업체 등과 함께 지난 21일부터 22일까지 양일간 A 어르신의 집을 정리했다. 쌓인 폐기물과 쓰레기를 치우고 집 안 청소와 방역을 실시했으며, 오는 29일에는 도배와 장판 교체를 진행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마련할 예정이다.
A 어르신은 “혼자서는 엄두조차 내지 못했는데 도움을 받아 마음이 놓인다”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하지만 수행기관은 “현재 주거환경 개선 지원금은 현실적으로 턱없이 부족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크다”며 저장강박 의심가구 지원 예산 확대 필요성을 호소했다.
저장강박은 물건을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계속 쌓아두는 행동장애로, 비위생적 환경과 화재 위험, 사회적 고립을 초래해 당사자는 물론 이웃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이 필수적이다.
광주광역시 광산구의회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반영해 지난해 ‘광산구 저장강박 의심가구 지원 조례안’을 제정했고, 광산구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광산구의회 박해원 구의원은 “쓰레기를 치우고 싶어도 여력이 없어 방치되는 사례가 많다”며 “저장강박의 특성상 정신건강과 사후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예산 현실화를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광역시_광산구의회 #박해원의원 #저장강박가구 #주거환경개선 #광산구청 #정신건강 #주민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