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문화재단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주관한 2025 창의예술학교운영사업 기획자·강사 연수과정 하루예술학교 : 뒤바뀐 교실이 지난 12일 북구문화의집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창의예술학교운영사업은 2012년을 시작으로 광주형 문화예술교육사업의 모델을 제시해온 대표 사업으로, 학교라는 구조를 매개로 일상 속 예술을 통한 삶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광주문화재단(대표이사 노희용)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주관한 2025 창의예술학교운영사업 기획자·강사 연수과정 <하루예술학교 : 뒤바뀐 교실>이 지난 12일 북구문화의집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창의예술학교운영사업은 2012년 시작해 광주형 문화예술교육의 대표 모델로 자리 잡았다. 학교라는 구조를 매개로 일상 속 예술을 통한 삶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북구문화의집, 태이움직임교육연구소, 실내악단 마하나임 3개 단체가 창의예술학교로 선정됐다.

광주광역시화정청소년문화의집은 예비창의예술학교로 인큐베이팅 과정을 거쳐 지역 거점으로 단계적 성장을 이어간다.

이번 연수는 기획자와 강사 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학교별 특화 장르를 융합한 협업 프로그램으로 기획됐다. 강사 두 명이 한 팀을 이뤄 실제 융복합 수업을 시연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장르 간 실험적 협력의 장을 열었다.

첫 수업은 무용가와 회화 작가가 함께한 미술 수업이었다. 태이움직임교육연구소 신희흥 대표와 북구문화의집 최찬 강사는 ‘나의 세계는’을 주제로 몸의 움직임과 드로잉을 연결해 참여자들이 서로의 세계를 시각적으로 소통하도록 이끌었다.

이어진 무용 수업에서는 음악과 춤이 결합됐다. 실내악단 마하나임 윤혜정 강사와 태이움직임교육연구소 고은주 강사는 ‘몸으로 노래하다’를 주제로 가곡 「나 하나 꽃피어」를 노래하고 춤으로 표현하며 감각적 체험을 선사했다.

마지막 음악 수업은 북구문화의집 고영준 강사와 실내악단 마하나임 김윤미 대표가 진행했다. 이들은 ‘작은 음악의 울림 칼림바 제작’을 주제로 참여자들과 악기를 직접 만들고 연주하며 음악적 원리와 감동을 체험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세 차례 수업을 마친 뒤 진행된 ‘방과 후 토크’에서는 참여자들이 소감을 공유했다. 한 참여자는 “문화예술교육 기획자와 강사가 함께 소통하고 도전할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광주문화재단 노희용 대표이사는 “각자의 영역에서 활동하는 창의예술학교가 만나 융복합 시도를 펼친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이번 연수를 통해 서로의 영역을 이해하고 새로운 시선을 얻는 계기가 되었길 바란다”고 전했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광주문화재단 #창의예술학교 #뒤바뀐교실 #하루예술학교 #문화예술교육 #융복합예술 #광주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