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고봉 기대승 탄신 500주년 기념해 전국적 문화 페스티벌로 지금부터 준비하자 제안하는 정책토론회가 개최된다. 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광산구5)과 고봉숭덕회(이사장 천득염)는 오는 8월 25일(월) 오전 10시, 시의회 5층 예결특위 회의실에서 「2027년 고봉 탄신 500주년 기념 페스티벌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2027년 고봉 기대승 탄신 500주년을 앞두고 이를 전국적 문화 페스티벌로 준비하자는 제안이 본격화됐다.

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광산구5)과 고봉숭덕회(이사장 천득염)는 "오는 25일 오전 10시 시의회 5층 예결특위 회의실에서 「2027년 고봉 탄신 500주년 기념 페스티벌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고봉 기대승(1527~1572)은 조선 성리학의 큰 학자로, 퇴계 이황과 8년간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으며 ‘사단칠정 논쟁’을 벌인 인물이다. 그는 ‘세상에 보기 드문 통유(通儒)’, ‘학문·문장·의리 삼절(三節)’로 평가받으며, 오늘날에도 학문적·문화적 가치를 지닌 인물로 재조명되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고봉의 사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호남학과 한국학의 지향점을 모색하며, 2027년 500주년 행사를 전국적 문화축제로 발전시킬 방안을 논의한다.

발제자로 나선 전남대 윤리교육과 김기현 교수는 “한국 성리학은 고봉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며 고봉을 ‘행동하는 선비’로 평가했다. 그는 고봉이 “오늘날 민주사회 공직자와 민주시민의 표상으로 제시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남대 호남학과 김경호 교수는 “로컬과 디지털, 기대승을 결합해 ‘보편학으로서의 고봉학’을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며 전통과 현대, 지역과 세계를 아우르는 학문적 지향을 제시했다.

토론에는 전남대 철학연구교육센터 이향준 교수, 남도역사연구원 노성태 원장, 광주시 전은옥 문화체육실장, 고봉숭덕회 장복동 교수가 참여한다. 이들은 고봉 사상의 현재적 가치와 함께, 퇴계와의 철학적 논쟁을 영호남 화합의 역사 자산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정책토론회를 주관한 박수기 시의원은 “2027년으로 다가온 고봉 탄신 500주년은 세계적 한류 열풍 속에서 한국 정신문화의 뿌리를 발견하고 확장하는 기회”라며 “정신문화자산을 시민과 널리 공유할 수 있는 전국적 문화축제로 준비하자”고 말했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고봉기대승 #사단칠정논쟁 #광주시의회 #정책토론회 #호남학 #정신문화자산 #500주년기념 #한국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