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부안군 농어촌종합지원센터, 천연생활용품 제작 지역 나눔 실천(부안군 제공)
[시사의창=최진수기자] 부안군 농어촌종합지원센터가 생활 속 친환경 실천과 지역 나눔 문화를 결합한 의미 있는 프로젝트를 마무리했다. 하서문화센터 활성화 프로그램 ‘천연생활용품 만들기 교육과정’에 참여한 16명의 주민이 직접 만든 주방세제와 손세정제 100개를 하서면사무소에 전달한 것이다.
지난 13일, 하서면사무소에서 진행된 전달식에는 참여 주민, 하서면 관계자, 농어촌종합지원센터 관계자들이 함께 자리했다. 주민들은 친환경 재료를 활용해 주방세제 50개, 손세정제 50개를 제작했다. 완성된 제품은 하서면 내 경로당과 마을회관에 비치돼 지역 주민들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만들기 체험’이 아닌, 지역 공동체의 자발적 참여와 환경 보호라는 두 가지 가치를 동시에 담아냈다. 특히 고령 인구 비중이 높은 하서면에서 경로당·마을회관에 비치된 생활용품은 실질적인 생활 편의를 제공할 뿐 아니라, 친환경 소재의 중요성을 체감하게 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참여자들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한 주민은 “직접 생활용품을 만들어 보니 화학성분 대신 친환경 재료를 쓰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됐다”며 “만든 제품을 나누며 이웃과 정을 나누는 기쁨도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부안군 농어촌종합지원센터 관계자는 “이번 교육과정은 주민들이 스스로 생활 속 친환경 실천 방법을 배우고, 제작한 제품을 지역에 나누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었다”며 “앞으로도 환경 보전과 공동체 회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례는 행정 주도형 복지에서 벗어나, 주민 참여와 자발성이 결합된 ‘생활 밀착형 친환경 복지’ 모델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한 방법으로, 지역 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속 가능한 활동을 만들어 가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도 크다.
이런 작은 움직임이야말로 지역 사회를 지탱하는 ‘보이지 않는 힘’이다. 예산 투입 규모로 따지면 미미할지 몰라도, 주민이 주인이 되는 사업이야말로 행정이 추구해야 할 궁극적인 방향이다. 부안군이 이런 모델을 더욱 확대해 나간다면, ‘친환경·공동체·삶의 질’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길이 열릴 것이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부안군 #농어촌종합지원센터 #천연생활용품만들기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