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에 뜬 ‘별천지’ 아트페어, 숨은 작가 32명 쏟아졌다(사진_하동군)
[시사의창=원희경 기자] 하동이 지역 예술의 보물창고를 열었다.
8~10일 하동군 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2025 아트페어 별천지’가 원로부터 청년·신진, 귀농·귀촌 예술인까지 32명이 한데 모여 작품을 선보이며 첫선을 보였다. 개막 이튿날 열린 예술장터에는 300명 이상이 몰려 작품을 직접 보고 사고, 지역 작가들과 교류하며 ‘하동형 아트마켓’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행사 오프닝과 도슨트 투어는 9일 오후 2시에 진행돼 관람 동선을 잡아줬다. 행사 안내와 일정은 하동군 공식 게시를 통해 예고됐다.
이번 아트페어는 경상남도 ‘2025년 맞춤형 문화활동 지원’ 공모에 선정돼 하동군과 경상남도가 주최, 아트플러스가 주관했다. 경남도는 올해 소외지역 및 청년예술단체 지원을 포함한 ‘문화활동 맞춤형 지원’에 예산을 투입해 도민 문화향유권을 넓히고 있는데, 하동의 첫 아트페어가 그 정책 흐름과 맞물린 셈이다.
전시는 관람 친화적으로 구성됐다. 아트갤러리에는 회화, 공예, 디지털아트, 캘리그라피, 서예 등 생활 속에서 접하기 쉬운 매체를 중심으로 작품을 걸었다. 전시실에서는 어린이들이 직접 참여하는 체험형 프로그램 ‘얼굴들-하동에 살아요’, ‘하동의 별 반짝반짝 빛나리’를 운영해 가족 단위 방문객의 체류 시간을 늘렸다. 현장 홍보와 참여 독려는 지역 작가들과 커뮤니티 채널을 통해 활발히 이어졌다.
행사 취지는 분명하다. 지역 예술인을 발굴해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공연·전시를 넘어 미술품 판로까지 연결하는 ‘제대로 된 지역 아트마켓’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현장에서 만난 관계자는 “하동다움의 아트페어를 향한 첫걸음에 많은 지역 예술인이 동참해 고마웠다”며 “군민과 방문객 모두가 하동의 문화적 매력을 경험하도록 ‘별천지’ 같은 예술의 시간을 계속 선물하겠다”고 말했다.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문화 프로그램과 공모사업을 지속 확대해 지역 예술의 저변을 넓히고, 일상에서 예술을 누리는 환경을 정착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러한 시도가 누적될수록 하동은 고유의 감성과 창의성이 살아 숨 쉬는 생활문화 도시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커진다. 결국 ‘지역에서, 지역의 힘으로’ 작가와 작품, 관객과 시장을 연결하는 생태계가 안착하느냐가 관건인데, ‘별천지’의 초시는 그 출발선을 통과했다는 의미를 남겼다
원희경 기자 chang-m1@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하동 #별천지 #아트페어 #하동문화예술회관 #지역예술인 #미술장터 #경상남도 #문화예술지원 #아트마켓 #도슨트투어 #체험전 #지역문화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