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소순일기자] 임실군이 이도리 도시재생 활성화 구역을 기존 15만㎡에서 약 26만㎡로 확대하는 변경안을 추진 중이지만, 구역 확장만으로는 실질적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핵심은 재원 확보와 사업 실행력 강화, 그리고 주민참여의 전 과정 확대다.

임실군,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안) 공청회


이번 ‘임실군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안)’ 공청회에서는 일부 주민과 전문가들이 사업 구역 확대에 따른 재정 부담을 우려했다.

재원 마련 계획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기존 도시재생사업에서 드러난 ‘계획 대비 실행력 부족’의 문제를 반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주민참여가 초기 의견 수렴 단계에 머무르는 관행에서 벗어나, 설계·집행·평가 전 과정에 걸친 실질적 참여 구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책으로 ▲국·도비 공모사업 적극 참여를 통한 안정적 재원 확보 ▲지역 내 빈집과 유휴부지 활용 극대화 ▲소규모 생활 SOC와 상권 활성화를 연계한 단계별 추진 ▲청년 창업·문화 활동 지원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물리적 환경 개선에 그치지 않고, 지역경제 회복과 인구 유입이라는 장기적 효과를 만들어야 한다는 조언이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의 성공 여부는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무게를 옮기는 데 달려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상징적 건물 신축보다 주민 역량 강화, 지역 공동체 재활성화, 청년층 유입 전략 등이 병행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군은 이번 공청회 의견을 반영해 9월 중 군의회 의견 청취 절차를 거친 뒤, 전북특별자치도에 변경안 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심 민 군수는 “확대된 사업 구역에 걸맞은 실효성 있는 전략을 마련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시사의창 소순일 기자 antlaandj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