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의정부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고가도로 아래를 운동장으로 쓰는 보육시설의 이름은 이삭의집이다. 34명의 보육원생이 대한민국 최동단 독도에 가게 된 사연은 작은 봉사단체의 도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150여 명의 후원자와 온라인 펀딩으로 조성된 ‘이독프 78910’은 이삭의집 독도방문 프로젝트로 2025년 7월 8일에 출발하였다.
저마다의 사연과 아픔을 가진 서른다섯 명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10여 년 전 결성된 ‘재미난 연구소’의 10년 숙원사업으로 독도 방문을 이루었다. 150여 명의 후원과 펀딩으로 조성된 2000여만 원의 기금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가는 여정의 막을 올렸다.

독도에 펼쳐진 초대형 태극기와 함께 기념 촬영한 아이들


[시사의창 2025년 8월호=하지훈 (전)동아보건대학교 마술학과 교수] 이삭의집 아이들에게 우리의 소중한 영토인 독도를 탐방시키고, 울릉도에 위치한 독도 관련 박물관과 교육관 등의 일정을 통해 우리 대한민국의 땅 독도의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해 의정부에서 45인승 버스를 타고 출발했다.



포항 신항에 내려 울릉 크루즈에 입선 후 6시간 뒤 울릉도에 도착해 다시 독도에 가는 쾌속선으로 환승 후 독도에 입도하게 되었다.
연중 60일 정도면 입도가 가능해서 하늘이 허락해야 밟아볼 수 있다는 독도는 우리 아이들의 방문에 쾌청한 날씨와 잔잔한 파도로 역사적인 독도방문을 환영했다.

독도에 간 아이들


‘시사의창’과 문화체육언론개혁포럼이 후원해서 준비한 초대형 태극기를 독도에 펼치고 인증샷을 찍었으며 독도수비대와 민족정기를 한껏 받는 시간이었다.
행사의 의의를 더욱 빛나게 한 것은 환경을 위해 2박 3일간의 여정 중 발생한 모든 쓰레기를 직접 수거하는 등 청정한 독도와 울릉도를 만드는 환경운동도 함께 실천한 여행이었다는 점이다.
아이들의 이름으로 태극기 작품을 만들어준 캘리그래피 하경수 작가는 베이비박스로 위탁기관에 온 어린이, 부모의 이혼, 재혼과 사별 등 저마다의 아픔과 상처를 가진 아이들이 국가와 사회의 일원이고 어엿한 사회 구성원으로 밝게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고 싶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아이들에게 늘 격려하고 응원해주는 후원자들과의 2박 3일간의 진한 교감 또한 독도 방문 프로젝트의 중요한 성적이다.


이 사업의 총진행을 맡은 재미난연구소 백세인소장은 명절이나 어린이날에 선물과 후원물품을 전달하고 기념 인증사진을 찍고 가는 분들에게 이렇게 전한다.
“제발 아이들에게 ‘다음에 다시 올게’라는 약속을 하지 마세요, 아이들은 그들의 친부모와 더 많은 후원자들에게 무수히 많은 거짓 약속을 수없이 겪었습니다. 지키지 못할 약속보다는 차라리 늘 건강하고 행복하길 기원한다고 해주세요”.
재미난연구소 백세인 소장은 10년 전 첫 봉사를 시작할 때부터 우리 아이들이 독도 방문 현장 체험학습을 통해 나라와 역사를 배울 기회를 우리 손으로 만들어주고 싶었다며 50일간 2000만원의 현금 펀딩과 더 많은 물품, 의상과 재능기부, 자원봉사를 해주신 분들 덕분에 이번 독도 방문을 성공적으로 이루게 되었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내년에는 이 아이들을 백두산에 보내는 더 크고 멋진 프로젝트가 이어지길 바란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