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을 모르는 무모함, 저 파괴적 자유의 세계를 지탱하는 낙관주의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 분명 그것을 파악하는 일은 「미키마우스에 대해」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핵심 구절을 이해하는 과제와 직결되어 있을 것이다. “이 영화들에서 인류는 문명보다 더 오래 살아남을 길을 준비한다.” 하지만 이를 본격적으로 고찰하기에 앞서 먼저 살펴볼 것이 있다. 디즈니라는 꿈의 형식, 저 특별한 동화적 세계가 벤야민의 동시대인 에이젠슈테인에게서도 대단히 유사한 방식으로 개념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본문 중에서-

김수환 지음 ㅣ 문학과지성사 펴냄


[시사의창=편집부] 《비교의 산파술》은 19세기 끝자락에 태어나, 전례 없는 폭력과 유토피아적 희망이 공존하던 시대를 통과하며 철학적 사유와 예술적 실험을 전개해나갔던 발터 벤야민(1892~1940)과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1898~1948) 두 사람의 사유와 창작을 대질시켰다.

에이젠슈테인과 벤야민은, 이미 잘 알려진 공통의 탐구 대상인 ‘영화’를 필두로 다수의 문제의식과 방법론을 공유했고, 연결고리가 될 만한 공통의 지인들도 존재했지만, 두 사람이 생전에 만난 적이 있다거나 서로의 작업을 참조했다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이 책은 두 사람을 사로잡았던 다양한 문제의식을 집약하는 세 가지 상징인 ‘유리 집’ ‘미키마우스(디즈니)’ ‘찰리 채플린’을 중심으로, 이들의 궤적이 흥미롭게 교차하고 갈라지는 양상을 파헤쳐나간다.

저자가 시도한 이러한 비교학적 독법은 각 인물을 따로 분석하는 방식보다 그들의 사유와 창작이 갖는 특징과 의의를 더욱 명확하게 드러내준다. 두 사람의 모습이 상대에게 부딪쳐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따라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그들의 낯설고 새로운 얼굴을 만나게 된다. 나아가 면밀한 분석과 과감한 추론을 통해, 일견 사소해 보이는 저 테마가 두 사람의 지엽적인 관심사에 불과했던 것이 아니라, 지난 세기 누구보다 명민했던 두 지성의 레이더가 포착한 20세기의 근본적인 문제들과 이어지며, 그 아래에 흐르고 있는 더 깊고 광대한 지층과 광맥들의 존재를 증언해주는 것이었음을 이해하게 된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