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10일부터 13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2025 자카르타 K-Food 페어’를 열고 동남아 최대 할랄 소비시장 공략에 나섰다. 사진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K-푸드페어 B2B 행사장 전경
[시사의창 = 송상교 기자] 한국 농식품이 동남아시아 최대의 할랄 소비시장인 인도네시아 진출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홍문표)는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2025 자카르타 K-Food 페어’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신정부의 K-푸드 수출 확대정책에 발맞춰 동남아 핵심시장 공략을 위한 첫 대규모 현지 마케팅 행사로, B2B 수출상담회와 B2C 소비자 체험행사, 할랄 인증 대응 세미나 및 컨설팅 프로그램까지 다채롭게 구성됐다.
자카르타 풀만 센트럴 파크 호텔에서 열린 B2B 수출상담회에는 국내 수출기업 40개사와 인도네시아·호주·뉴질랜드 바이어 90개사가 참여해 총 531건의 1:1 수출 상담을 진행했다. 이틀간 총 1,100만 달러 규모의 MOU 27건이 체결되며 실질적 수출 성과를 거뒀다.
특히, 딸기·냉동만두·스낵·음료 등 K-푸드 인기 품목이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의 할랄 인증 강화 기조에 발맞춰 ‘할랄 인증 동향 세미나’와 현장 컨설팅 부스 운영도 병행됐다. 현장에서는 수출 기업들을 대상으로 인증 절차, 통관, 법률 대응 등 실시간 상담 지원이 이뤄져 참가 기업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었다.
페어 기간 중 주말(12~13일)에는 자카르타 도심 쇼핑몰인 센트럴 파크몰 야외광장에서 B2C 소비자 체험행사도 개최됐다. 현지 유통사 16개사가 함께한 가운데, ‘K-할랄 홍보관’과 ‘한강 편의점 콘셉트 체험존’ 등을 통해 즉석라면, 컵밥, 떡볶이 등 다양한 한식 제품의 시식·판매가 이뤄졌다.
행사장에는 양일간 약 10만 명의 현지 소비자가 몰렸으며, 약 3만 달러 규모의 현장 매출이 발생하는 등 K-푸드의 브랜드 인지도와 소비자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 대형 유통사인 랜치마켓의 바이어 엘라인은 “한국 식품은 맛과 품질, 그리고 할랄 인증까지 갖춘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이라며 “인도네시아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홍문표 사장은 “2024년 한국 농림축산식품의 대(對)인도네시아 수출은 약 2억5천만 달러로, 베트남·필리핀에 이어 아세안 내 세 번째 수출시장”이라며 “앞으로도 할랄 인증 의무화에 선제 대응하고, 국내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수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이번 페어를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K-푸드 전략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할랄 인증 컨설팅, 물류 지원, 현지 마케팅 강화 등의 후속 프로그램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송상교 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 #K푸드 #K할랄푸드 #자카르타KFood페어 #인도네시아수출 #농식품수출확대 #할랄시장공략 #B2B상담회 #한강편의점콘셉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