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김성민 기자] 국민의힘이 9일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을 새 혁신위원장으로 선택하고 차기 전당대회 선거를 이끌 선거관리위원장에는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명했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대표적 경제통”이라는 수식어를 앞세워 윤 원장을 “수도권 민심과 당 정책을 연결할 혁신 조타수”로 추켜세웠다. 그러나 야권은 물론 여당 내부에서도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자진 사퇴했던 인물을 앞세워 과연 ‘과거와의 결별’을 설득할 수 있겠냐”는 반문이 쏟아진다.
윤희숙은 2021년 부친의 세종시 농지 매입 의혹이 불거지자 스스로 국회의원 배지를 내려놓았다. 경찰은 2022년 윤 전 의원 본인은 무혐의 처리했지만 부친은 농지법·주민등록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넘겼다. 의혹은 법적 절차로 일단락됐지만, ‘농지법 위반 가족’이라는 이미지가 대중 기억에 새겨졌다.
그럼에도 당 지도부는 윤 원장의 ‘시장주의 경제통’ 이력을 선택했다. KDI 연구위원 출신인 그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수요 억제에만 집착한 실패”라고 비판하며 정치적 입지를 넓혔다. 지난해 여의도연구원장에 오르자 “보수의 본업은 정책”이라며 싱크탱크 기능 강화에 매진했고, 투기 의혹 당시 세종 땅을 처분해 발생한 차익을 전액 기부해 ‘책임 정치’ 이미지를 복원하려 애썼다.
하지만 혁신위원장 취임 직후부터 회의적인 시선이 더 크다. 첫째, 총선을 불과 8개월 앞둔 시점에 ‘서울 집값 폭등’의 상징적 비판자로 알려진 인물이 당 혁신 간판을 맡는 모순이다. 둘째, 수도권 민심이 원하는 ‘부동산 안정’과 ‘생활물가 대책’에 대해 윤 원장이 제시해온 해법은 규제 완화·시장 자율 중심인데, 이는 여론조사에서 이미 “부자 감세”로 비판받아 왔다. 마지막으로 부친 사건이 아직 재판으로 매듭지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혁신위 출범 즉시 도덕성 논란에 발목”이란 지적도 나온다.
지지층은 “경제 전문성이 절실한 시기에 선택한 승부수”라고 반긴다. 당 일각에서는 “윤희숙이 추진해온 노동·교육·부동산 구조개혁 청사진이 총선 공약의 뼈대가 될 것”이란 기대도 있다. 그러나 무당층 여론은 “부동산 사퇴 쇼였나” “국민 눈높이와 동떨어진 인선”이라는 반응이 우세하다. 윤 혁신위원장이 과거의 그림자를 넘어 당 쇄신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부동산논란 #농지법 #경제통 #수도권민심 #정책혁신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