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의혹들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내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실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시사의창=김성민 기자]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8일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 국회 사무실과 김영선 전 의원 자택 등 10여 곳을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특검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022년 보궐선거 공천 과정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입증할 물증 확보에 나섰다. 이번 수사는 윤 전 대통령이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에게 “김영선을 좀 해줘라…상현이한테 다시 얘기하겠다, 걔가 공관위원장”이라고 말한 5월 9일 통화 녹취가 촉발했다. 명 씨가 같은 해 대선과 지방선거 직전까지 81차례에 걸쳐 무상 여론조사를 제공했다는 진술도 확보됐다.

윤 의원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위라는 배경과 함께 2004년 세금 체납 소송, 2013년 채동욱 전 검찰총장 혼외자 의혹 제기, 2016년 “김무성 죽여버려” 막말, 2020년 ‘함바왕 로비’ 사건 등 굵직한 논란이 이어졌다. 여기에 이번 ‘공천 개입’ 의혹까지 더해지면서 여권 내 최대 리스크로 부상했다.

특검이 확보한 문서·PC 파일에서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지시 정황과 공관위 의사결정 개입 증거가 확인될 경우, 윤 의원은 공직선거법·정치자금법 위반으로 기소될 가능성이 크다. 의원직 상실형이 선고되면 내년 총선 재도전에도 치명타가 불가피하다. 윤 전 대통령 역시 불법 정치자금 수수·제3자 뇌물 혐의로, 김 여사는 공직선거법 공범 여부로 각각 사법 리스크가 확장될 여지가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윤 의원·김 전 의원·명 씨를 차례로 불러 대질조사할 방침이다. 증거가 쌓일수록 공천 과정 전반이 ‘권력형 거래’였다는 프레임이 굳어지며, 국민의힘 내부 권력 구도와 보수 야권 대선 전략에도 파장이 예상된다. 윤상현 의원은 “정상적 공천 절차였다”는 입장이지만, 과거 막말·로비 구설이 겹친 그의 신뢰도는 급락하고 있어 방어 전략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검 수사가 향후 소환·구속영장 단계로 치달을지, 정가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윤상현 #공천개입 #압수수색 #윤석열 #김건희 #명태균 #특검 #국민의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