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김세전 기자] OECD가 6월 3일 공개한 『경제전망 2025 Ⅰ』에서 내년 한국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를 1.0 %로 다시 낮췄다. 지난 3월 잠정치(1.5 %)에서 0.5 %p를 덜어낸 수치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2009년 0.8 %) 이래 최저 수준이다. 보고서는 “높아진 관세와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교역과 설비투자를 억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하향 조정의 직접적 배경은 ▲對美·對中 관세 확전으로 인한 수출 부진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기업 자금 경색 ▲민간소비 회복 지연 등이다. OECD는 한국의 교역 의존도가 높아 관세 충격이 성장률을 0.3 %p 이상 갉아먹을 것으로 추산했다.
국내 기관들도 비관적이다. 한국은행은 2월 수정전망에서 내년 성장률을 **0.8 %**로 낮췄다. 국제 신용평가사들은 “재정·통화 정책 공백이 이어질 경우 0 %대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대응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연내 ‘33 조 원+α’ 규모의 반도체·첨단 제조 패키지를 집행해 투자 심리를 지탱하고, 3분기 중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검토 중이다. 금융위원회 역시 은행권 유동성 완화 조치를 12월까지 연장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관세 갈등이 단기간 해소되기 어렵다”며 구조 개혁과 수출 다변화를 주문한다. 서강대 이윤수 교수는 “디지털·친환경 전환 프로젝트를 서둘러야 잠재성장률 하락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향후 관전 포인트는 ▲9월 통과가 목표인 ‘디지털자산 ETF·스테이블코인’ 특별법 ▲미 연준의 연말 금리 인하 가능성 ▲중국 내수 부양책의 파급 효과다. 변수들이 겹치는 4분기에 성장 경로가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한국 경제가 ‘1 % 성장의 늪’을 피하려면 교역 환경 악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내수 모멘텀을 키우는 투트랙 전략이 요구된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OECD_경제전망 #한국성장률 #저성장위기 #관세전쟁 #고금리여파 #수출둔화 #2025경제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