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도 마찬가지다. 애초에 그런 마인드를 가지고 있다면 신사적인 대응도 쇠귀에 경 읽기밖에 안 된다. 어떤 편견이나 고정관념에 악의나 비하가 담겨 있을수록 전염성이 더 강하다. 저급한 동기가 고귀한 동기보다 더 강한 에너지를 뿜어내기 때문이다. 이는 원초적인 욕망에 의해 동기부여가 되기에 그렇다. 피해자 입장에서의 호소도 어떤 인간 부류에게는 전혀 먹히지 않는다. 그런 자들에게 먹히는 유일한 방법은 그저 똑같이 당해보는 것이다. -본문 중에서

박중현 지음 ㅣ 드루 펴냄


[시사의창=편집부] 백인을 자처하는 이들의 모순과 그 차별의 실체를 날카롭게 파헤치는 〈하얗지 않은데 왜 백인인가?〉가 출간되었다. 저자는 15년 이상 해외에서 생활하며 마주한 현실을 가감 없이 드러내며, 차별과 편견이 만들어지는 과정 및 그것이 우리의 사고를 조종하는 메커니즘을 다각적으로 살핀다.

또한, 백인이 아닌 이들을 ‘피해자’로 상정하여 목소리를 내기보다는 오히려 차별과 고정관념이 우리 일상과 사회적 구조 속에서 어떻게 뿌리내렸으며, 그 무게를 어떻게 벗어나야 하는지에 관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동양인은 왜 ‘사회적 샌드백’으로 취급받는지, 피부색이 계급을 결정하는 시대는 정말로 끝이 났는지, 우리는 어떻게 스스로 가둔 고정관념 속에서 벗어나야 하는지 등의 질문을 통해 우리가 좀 더 주체적인 시선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총 8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인종적 고정관념의 기원과 그 확산 과정, 역사적 배경,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 인종차별이 어떻게 더욱 교묘하게 작동하는지를 다룬다. 미디어, 교육, 직장 내 차별, 문화적 편견 등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차별의 얼굴을 해부하며,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적 방법들을 꺼내어 놓는다.

이 책은 단순한 사회학적 담론의 장을 넘어 한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더 넓은 세상과 당당히 마주할 수 있도록 이끄는 책이다. 인종차별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섬세하게 풀어내며, 우리에게 더 이상 침묵하지 않을 용기와 세상을 보는 더 명확한 시선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비로소 이 책을 덮을 때쯤이면 더 넓은 시선으로 다양한 세상을 바라보게 될 것이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