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_MBC방송 캡쳐)


[시사의창=김성민 기자] 워싱턴이 다시 들끓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에서 만든 영화는 전부 100% 관세를 매기겠다”는 폭탄 발언을 꺼내 들자 할리우드와 글로벌 영화시장이 일제히 충격에 빠졌다.

트럼프는 “우리 영화 산업이 다른 나라에 잠식돼 폐허가 됐다”고 주장하며 관세 폭탄을 예고했지만, 구체적 설계는 전혀 제시하지 않았다.

그는 백악관 미식축구 행사 연단에서 “할리우드는 멋져 보이지만 실상은 일감이 외국으로 빠져나갔다”고 열을 올렸다. 이어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산업을 빼앗기도록 방치했다”며 개빈 뉴섬 주지사를 공개적으로 공격해 정치 공방으로까지 번졌다.

문제는 정책의 실체가 안갯속이라는 점이다. 극장 개봉 영화만 겨냥한 것인지,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같은 OTT 콘텐츠까지 포함할 것인지조차 불명확하다. 백악관도 “최종 확정된 방안은 아니다”라며 진화에 나서는 등 혼란만 키우고 있다.

시장 반응은 즉각 냉랭했다. 뉴욕증시에서 넷플릭스를 비롯한 미디어주가 줄줄이 하락했고, 영국·호주 제작사들은 “보복 관세도 불사하겠다”며 긴장 수위를 높였다. 업계는 “촬영지 인센티브 경쟁이 아닌 관세 장벽은 할리우드를 살리는 해법이 아니다”라고 반발했다.

전문가들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 위반 소지와 ‘서비스 무역’에 대한 새로운 분쟁 촉발 가능성을 동시에 경고한다. 한 통상 변호사는 “지식재산에 관세를 매기겠다는 발상 자체가 전례를 찾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관세 논란만이 아니다. NBC 인터뷰에서 불법체류자 추방을 언급하던 트럼프는 ‘여전히 헌법을 지켜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모르겠다. 나는 변호사가 아니다”라고 답해 파문을 키웠다. 헌법 수호 선서를 무시한 듯한 발언에 야권과 학계는 “대통령 직무 방기”라며 일제히 포화를 퍼부었다.

뉴욕주 캐시 호컬 주지사는 CNN에 출연해 “트럼프가 헌법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민주주의의 안전장치를 스스로 해체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백악관 주변에서는 “2026년 중간선거를 앞둔 지지층 결집용 연출”이라는 분석이 나오지만, 업계는 관세 시행 시 티켓값 상승과 글로벌 보복 조치로 미국 소비자 부담이 폭증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관세 초안조차 완성하지 못한 상황에서 헌법 논란까지 덮치자, 트럼프의 ‘입(口) 정책’은 미국 정치·산업계를 다시 뒤흔들고 있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트럼프 #외국영화 #관세 #100% #할리우드 #헌법 #NBC인터뷰 #무역전쟁 #영화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