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김세전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또다시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하자고 주장하며 북미 정세에 불필요한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 연방 총선을 앞두고 캐나다 유권자들이 투표소로 향하는 가운데, 트럼프는 국경을 철폐하고 경제적 통합을 약속하겠다고 말하며, 정치적 블러핑을 반복하고 있다.
트럼프는 이전에도 무역 협상이나 국내 정치적 국면에서 과장된 발언을 통해 상대를 압박하는 전략을 구사해왔다. 이번 ‘캐나다 51번째 주 편입’ 발언 역시 실현 가능성과는 거리가 먼 정치적 수사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그 여파는 결코 가볍지 않다.
트럼프의 이번 발언은 캐나다 정치권 전체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트뤼도 총리는 “지옥에도 그럴 기회는 없다”고 단언했고, 보수당 대표 피에르 푸알리에브르는 “캐나다는 절대 미국의 주가 되지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에게 선거 개입을 중단하라고 경고했다. 캐나다 주재 미국 대사관 역시 "캐나다는 독립국이며 미국과 대등한 이웃"이라는 입장을 강조했다.
여론 또한 확고하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약 80%의 캐나다인들이 트럼프의 제안을 거부하고 있으며, 주된 이유는 총기 규제, 의료 체계, 국가 정체성에 대한 차이 때문이다. 이러한 반응은 트럼프의 발언이 캐나다 국민의 자존심을 건드렸다는 점을 시사한다.
블러핑의 본질은 상대가 진짜로 받아들이기를 유도하는 데 있다. 트럼프는 관세 압박과 결합된 이 발언을 통해 캐나다와의 무역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실제로 미국은 대부분의 캐나다산 수입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고, 이에 대응해 캐나다는 1,550억 캐나다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매겼다.
이러한 무역 전쟁은 국경 양측의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동차, 농업, 건설,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용이 증가하고 공급망이 불안정해졌으며, 소비자와 기업 모두 불확실성에 직면했다. 미국 기업들 역시 캐나다산 원자재 부족으로 가격 인상과 해고 위협을 받고 있다.
더 큰 문제는 트럼프의 발언이 캐나다 내 민족주의 정서를 자극했다는 점이다. “Never 51”과 “Not for Sale” 같은 슬로건이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확산되고 있으며, 정치인들은 저마다 ‘Canada First’를 외치며 선거 유세에 나서고 있다. 트럼프의 블러핑이 실제로 캐나다 정치의 지형을 흔들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발언이 실현될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라고 평가한다. 미국 헌법상 외국 영토의 주 편입 절차는 존재하지만, 캐나다와 같은 독립된 G7 국가가 자발적으로 주권을 포기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국제법적으로도 일방적인 합병 시도는 외교적 고립을 자초할 뿐이다.
결국 트럼프의 이 같은 행보는 익숙한 패턴으로 귀결된다. 국내 정치적 위기나 지지층 결집이 필요할 때마다 튀어나오는 자극적인 발언, 그 결과는 상대국의 분노와 국제적 긴장이다. 이번에도 예외는 아니다.
트럼프의 캐나다 관련 발언은 실현 가능성보다는 심리적 압박과 협상용 수사에 가깝다. 그러나 반복되는 블러핑은 이웃 국가와의 신뢰를 소모시키며, 북미 관계 전반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트럼프 #캐나다합병 #블러핑정치 #미국51번째주 #무역전쟁 #트뤼도 #푸알리에브르 #민족주의 #캐나다정치 #북미갈등 #트럼프발언 #정치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