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시사의창=김세전 기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를 일시적으로 유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최근 CBS 뉴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등 해외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려는 자동차 제조업체에 더 많은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고려 중이라고 보도했다.
지난달 27일 발표된 이 관세 조치는 당초 "영구적"이라는 표현과 함께 미국 자동차 산업 보호를 목표로 강력하게 추진됐다. 대상 품목은 승용차를 비롯해 SUV, 경트럭은 물론, 엔진, 변속기, 전기 부품 등 자동차 생산에 필수적인 대부분의 부품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은 이 관세가 시행될 경우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대당 평균 5,000~10,000달러가량 급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의 약 절반이 수입품이며, 미국 내에서 조립되는 차량마저 부품의 최소 15% 이상을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완전히 미국산 차량이 현실적으로 존재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특히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은 수만 개의 부품이 수천 개 기업과 국가 간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연결돼 있어, 단순히 생산지를 옮기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복잡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이로 인해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에 상당한 압박을 가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현실적 난제를 인식하고 4월 9일 자동차를 포함한 대부분의 신규 관세 부과에 대해 90일간의 유예 기간을 설정했다. 이 기간 중 미국 정부는 관련국들과 무역 장벽 및 통화 정책 등을 둘러싼 협상을 지속할 계획이다.
이번 관세 유예 결정은 현대차와 기아차 등 미국에 큰 시장을 보유한 한국 자동차 제조사들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최근 미국 정부의 보호주의 무역 정책 강화로 인해 한국 자동차 기업들은 북미 시장에서의 경쟁력 유지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일시적이나마 관세가 유예될 경우 한국 자동차 기업들은 공급망 재정비와 미국 내 생산설비 확대 등 장기적 대응 전략 수립에 여유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 유예 기간이 종료된 이후 관세가 다시 부과될 가능성도 여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이번 유예 기간을 전략적 기회로 활용해 미국 내 생산시설 증설과 현지화 비율 확대 등 장기적 대응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트럼프관세유예 #자동차관세 #한국자동차산업 #트럼프행정부 #관세정책 #현대기아자동차 #미국무역정책 #공급망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