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이믿음기자] 광주 고려인마을은 지난 11일, 마을 중심에 위치한 홍범도공원에서 고려인 한글문학 기획전 및 중앙아시아로 건너간 사할린 한인들 특별전 개막식에 이어, 사할린 출신 한글작가 이정희 초청 이야기 공연(토크쇼)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고려인마을에 따르면, 이날 행사는 고려인마을 주민들과 국내외 인사, 고려인마을관광청 해설사들이 함께한 가운데, 고려인 어르신들로 구성된 아리랑가무단의 축하공연으로 시작돼 지역사회에 따뜻한 감동을 선사했다. 이어 다양한 문화행사와 전시 개막식이 이어지며, 고려인마을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깊은 관심을 끌어 냈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이정희 작가가 전한 생생한 삶의 이야기였다. 김병학 고려인문화관장의 사회로 진행된 행사에서 그는 사할린 출신 고려인으로서 성장 과정부터 문학적 여정, 모국어 신문사 기자로 활동하던 시절까지 고려인 한글문학사에 깊이 각인된 자신의 발자취를 진솔하게 전했다.
*광주 고려인마을은 지난 11일, 마을 중심에 위치한 홍범도공원에서 고려인 한글문학 기획전 및 중앙아시아로 건너간 사할린 한인들 특별전 개막식에 이어, 사할린 출신 한글작가 이정희 초청 이야기 공연(토크쇼)을 성황리에 개최했다/사진=고려인마을 제공
이 작가는 부모님의 고향과 사할린 이주 배경, 한국어를 익히게 된 계기, 사할린 한인학교 시절의 기억, 인상 깊은 교사들과 차별의 경험 등에 대해 담담하게 풀어놓았다. 또한 한국 음식을 그리워하던 기억과, 사할린을 떠나 중앙아시아로 유학과 직업을 찾아 나서게 된 계기도 소개했다.
그는 고려인 모국어 신문인 레닌기치(고려일보)와 인연을 통해 어떻게 본격적인 문학과 언론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선배 작가들과의 협업 경험, 창작 활동 당시의 고려인 문학계 분위기, 여성 작가로서 최초로 단행본 『시월의 햇빛』(1971)에 작품을 실은 소감도 나누었다.
30여 편의 단편소설과 희곡 『계월향』 을 창작하여 고려극장 무대에 올린 그는, 특히 2002년 단편소설 『그날 밤』으로 미국 로스앤젤레스 해외한인문학대상을 수상했으며, 2005년에는 한국어 문학에 기여한 공로로 독일 베를린 국제문학예술아카데미(모스크바 지부)로부터 ‘황금왕관 훈장’을 받기도 했다.
그는 『그날 밤』이 자신의 작품 중 가장 애착이 가는 작품이라 소개하며, 그 안에 담긴 시대의 상처와 여성의 내면을 통해 독자와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전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정희 작가는 중앙아시아에서 모국어 신문사 기자로 일하며 느낀 보람과, 고려인 2세대의 정체성과 언어 계승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며, “모국어는 단순한 언어가 아닌 정체성과 정신의 근간”이라 말했다.
그는 한국으로 영주 귀국 계기와 정착 과정에서 어려움도 솔직히 털어놓으며, 고려인 동포들을 위한 정책 개선과 문화적 이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인생에서 가장 큰 보람은 모국어로 글을 쓰며, 잊힌 이들의 삶을 기록해 온 것”이라고 말해 현장에 모인 이들의 깊은 공감을 얻었다.
고려인마을 관계자는 “이정희 작가의 진솔한 이야기 속에는 고려인의 역사, 아픔, 꿋꿋한 삶의 정신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며 “앞으로도 고려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할 수 있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고려인한글문학 기획전과 중앙아시아로 건너간 사할린 한인들 특별전은 고려인문화관에서 현재 진행 중이며, 전시 관람은 누구나 무료로 가능하다.
이믿음기자 sctm03@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고려인마을 #고려인 #재외동포 #광주광역시 #역사마을1번지 #광주여행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