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승자는 ?


[시사의창=김세전 기자] “관세 전면전은 모든 국가를 패자로 만들고, 비트코인이 그 공백을 메울 것이다.” 비트와이즈의 제프 박 애널리스트가 최근 보고서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를 동시에 촉발해 ‘가치 저장 수단’ 수요를 비트코인으로 끌어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슷한 경고음은 월가 거물 레이 달리오도 울렸다. 그는 X(구 트위터)에 “관세는 전 세계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적”이라며 부채·무역 불균형이 현 금융 질서를 뒤흔들 것이라고 적었다.

Coin Bureau 창립자 닉 퍼크린은 “미·중 관세 전쟁이 장기화하면 2025년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이 40%”라며, 이 불확실성이 비트코인 매수세를 자극할 것이라고 코인텔레그래프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러나 시장 일각에서는 ‘BTC 피난처론’이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반론도 적지 않다. 첫째, 2021년 중국의 가상화폐 전면 금지 이후 국경 간 자본 이동은 여전히 엄격히 통제되고 있다. 위안화 약세가 곧장 비트코인 매수로 이어질 것이란 전제부터 불확실하다. 둘째, 미국 역시 거래소 규제·과세 강화로 기관 자금의 직접 유입이 제한될 수 있다.

셋째, 비트코인 자체 변동성도 간과하기 어렵다. 2020년 3월 팬데믹 초기 BTC는 하루 만에 40% 폭락한 뒤 1년 반 만에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지만, 그 과정에서 수차례 급락·청산이 반복됐다. ‘디지털 금’ 서사가 현실로 작동하려면 장기 보유자조차 견디기 힘든 가격 롤러코스터를 넘어서야 한다.

넷째, 일부 논객은 관세 충격이 오히려 연준의 금리 인하 압박으로 이어져 유동성을 재공급할 것이라고 본다. 앤서니 폼플리아노는 “정부가 자산 가격을 의도적으로 흔들어 금리 인하를 유도하려 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 금리 경로는 인플레이션·고용 지표에 좌우된다.

결국 관세발 충격이 비트코인 강세로 귀결될지, 혹은 또 다른 ‘리스크 오프’ 패닉을 촉발할지는 ▲글로벌 중앙은행의 정책 대응 ▲각국 자본 통제 수준 ▲비트코인 시장 구조(ETF·파생상품)의 내구성에 달려 있다. ‘무역 전쟁=BTC 랠리’라는 단선적 서사에 기대기엔 변수와 역사는 너무 복잡하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무역전쟁 #관세 #비트코인 #스태그플레이션 #JeffPark #RayDalio #NicPuckrin #AnthonyPomplia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