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김세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 부과하기로 했던 신규 관세를 90일 동안 전격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대다수 국가의 상호 관세율은 **10%**로 낮아졌지만, 중국산 수입품에는 **125%**의 고율 관세가 그대로 적용되며 오히려 증액됐다.
트럼프는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유연성이 필요하다”며 75개국과의 재협상 창구를 열겠다고 주장했다. 백악관은 유예 기간을 ‘협상용 관세 지렛대’로 포장했지만, 시장과 외교 현장에서 혼란이 증폭되고 있다.
행정부 내부 소통 부재도 여실히 드러났다. 하원 세입위원회 청문회에 출석 중이던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수석대표는 트럼프의 발표를 실시간으로 접한 뒤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유예 가능성은 들었지만 즉시 시행될 줄은 몰랐다”며 말을 아꼈다.
민주당 스티븐 호스포드 의원은 “도대체 누가 정책을 결정하느냐”며 그리어의 신뢰성을 정면으로 문제 삼았다. 이는 행정부의 무역 전략이 ‘사전 조율 없는 즉흥 쇼’라는 비판에 힘을 실었다.
wlos
공화당 의원들은 시장 충격 완화를 이유로 관세 유예를 반기면서도, 트럼프의 돌발 행보가 반복될 경우 의회 권한 회복 법안을 추진하겠다고 압박했다.
금융시장에는 즉각 반응이 나타났다. 뉴욕증시는 트럼프의 유예 발표 직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12% 급등하는 등 ‘안도 랠리’를 연출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투자와 공급망 계획이 다시 얼어붙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경제학자들은 관세를 ‘협상 칼’로만 보는 접근이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 되돌아올 비용을 과소평가한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예측 가능성이 사라진 무역 정책은 결국 자국 산업에도 부담”이라며 행정부에 일관성 있는 로드맵을 촉구했다.
이번 90일 유예는 트럼프가 즐겨 쓰는 벼랑 끝 전술의 연장선이다. 하지만 중국과의 갈등을 고율 관세로 더 자극한 만큼, 협상 결과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이 다시 한 번 출렁일 가능성이 높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트럼프 #관세유예 #중국관세 #미국무역정책 #무역전쟁 #JamiesonGre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