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달 23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4차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_헌법재판소)
[시사의창=김성민 기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기소된 가운데,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을 겨냥해 “처단하라”는 옥중 메시지를 남겨 파장이 커지고 있다.
김 전 장관의 변호인 이명규 변호사는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1000만 광화문 국민대회’에서 김 전 장관의 메시지를 공개했다. 메시지에서 김 전 장관은 “헌재는 즉각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각하하고 대통령을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김 전 장관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거대 야당의 입법 독주 저지 ▲부정선거의 실체 규명 ▲자유민주주의 체제 수호를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하며, 헌재에 탄핵심판 각하를 촉구했다. 특히 일부 재판관들의 실명을 거론하며 “처단하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한편,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발표된 포고령에 포함됐던 "전공의를 비롯한 의료인은 48시간 내 본업에 복귀하라, 위반 시 계엄법에 의해 처단한다"는 문구가 의료계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로 인해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이 심화됐으며,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포고령 문구 작성 경위에 대해 아는 사람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은 “김 전 장관이 포고령을 작성했다”는 입장을 보였다. 지난 1월 23일 열린 헌재 탄핵심판 4차 변론에서 윤 대통령은 김 전 장관에게 “전공의 처단 문구를 왜 넣었느냐고 웃으며 이야기했다”고 말했고, 김 전 장관은 “기억난다”며 동조했다.
김 전 장관의 메시지가 공개되면서, 헌재를 향한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김용현 #윤석열 #탄핵심판 #헌법재판소 #비상계엄 #전공의 #포고령 #정치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