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가 15일 서울 구로구 남부교도소에서 광복절 특별사면·복권 조치로 출소하며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


[시사의창=정용일 기자] 광복절 특별사면·복권으로 석방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자신의 사면을 둘러싼 논란에 정면으로 답했다. 그는 비판 여론을 수용하겠다고 밝히면서도, 앞으로의 행보를 통해 반대 여론을 돌려세우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특히 내년 6월 지방선거나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 출마하겠다는 뜻을 사실상 공식화하며 정치권 복귀를 예고했다.

조 전 대표는 최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사면에 반대한 국민이 48%나 되는 사실을 잘 안다”며 “저의 효능과 역할을 실천으로 입증하겠다. 과거가 아니라 미래를 보고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재심 청구를 통해 무죄를 다투고 싶은 생각은 없다”며 “정치인의 길을 걷는 이상 초점은 재판이 아니라 국민의 평가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을 향한 비판의 상당 부분이 젊은 세대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인정했다. “2030세대의 불만은 결국 자녀 입시 문제에서 비롯된 것 같다”며 “자신들은 가질 수 없었던 기회를 제 자녀가 누렸다는 점에서 분노한 것 같다”는 설명이다. 이어 “그 문제에 대해 여러 차례 사과했고 지금도 죄송하다. 제도가 그랬다거나 부모로서 어쩔 수 없었다는 식으로는 변명할 수 없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검찰 수사와 재판 과정에 대한 시각은 여전히 남아 있음을 내비쳤다. 그는 “검찰의 수사와 법원의 판결에 하고 싶은 말이 많지만, 이제는 정치인으로서 더는 언급하지 않겠다”며 “대법원 판결을 전제로 국민께 말씀드리고자 한다”고 했다. 결국 과거의 법적 다툼보다는 정치적 선택이 앞으로의 무게 중심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 셈이다.

차기 행보와 관련해 조 전 대표는 “당장 무엇을 하겠다고 말하는 건 성급하다”면서도 “내년 6월에는 반드시 국민으로부터 다시 한 번 심판을 받겠다”고 했다. 이는 지방선거나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출마를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는 “출마지가 어디가 될지는 당의 판단에 따르겠다”며 개인보다 당의 필요를 우선시하겠다고도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조 전 대표의 우선적인 행보가 당 대표 도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조국혁신당은 오는 10월 말에서 11월 초 전당대회를 열어 새로운 당 대표를 선출할 예정인데, 그는 “당 대표 출마 의사가 있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민주당과의 합당 문제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하며 “당 내부 논의가 선행돼야 하고, 합당이 최선인지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민주당과 무조건 거리를 두는 방식은 옳지 않다”며 “진영 전체에 도움이 되는 길을 열어둔 채 당내 의견을 모아가겠다”고 밝혔다. 이는 차별화와 연대 사이에서 전략적 균형을 모색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출소 직후부터 정치 복귀를 공식화한 조 전 대표가 내년 6월 어떤 무대에 오를지, 또 사면을 둘러싼 찬반 여론을 실제로 뒤집을 수 있을지는 향후 정치권의 중요한 변수로 꼽힌다.

정용일 기자 citypress@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