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진영에서 부상하고 있는 일부 청년 정치인들의 언행은 전통적인 극우 성향과 결합하며, 정치의 저급화를 초래하고 있다
최근 우리 정치의 한복판에서 '청년'이 자주 호출된다. 청년 정치, 청년 공천, 청년 보좌진, 심지어 청년 비례대표까지. 그러나 그 실체를 들여다보면, ‘청년’이라는 단어의 신선함에 기대어 극단적인 분노와 혐오를 앞세운 정치 행태가 심화되고 있다는 사실에 우려를 금할 수 없다.
특히 보수 진영에서 부상하고 있는 일부 청년 정치인들의 언행은 전통적인 극우 성향과 결합하며, 정치의 저급화를 초래하고 있다. 그들은 유튜브나 SNS에서 자극적인 발언을 통해 주목을 받고, 역사적 사실이나 사회적 맥락에 대한 고민 없이 ‘진영 논리’의 투사로 소비된다. 더욱 심각한 것은, 그 안에 역사에 대한 성찰이 전혀 없다는 점이다.
극우적 청년정치의 주된 메시지는 단순하다. 반북, 반공, 반중, 반노조, 그리고 반(反)진보. 과거 권위주의 시대의 사고방식을 현재에 끌고 와 ‘자유’라는 말로 포장하지만, 실상은 다름 아닌 퇴행이다. 문제는 이들이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역사 자체를 부정하거나, 왜곡된 해석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식민지 근대화론이나 일제 ‘합법적 병합론’이 청년 정치 담론에 아무런 거리낌 없이 등장하고,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음모론이 재생산되며,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을 “성장의 신화”로 단순화하는 경향이 대표적이다. 이는 단순한 무지가 아니라, 의도적 망각의 결과이며 민주주의의 토대를 흔드는 일이다.
청년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은 언제나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청년이라는 이유만으로 무조건적인 환호를 보내는 것도, 그들의 ‘분노’만을 정치의 자산으로 여기는 것도 위험하다. 청년 정치가 진짜 설득력을 가지려면, 분노보다 책임, 아스팔트 위 구호보다 성찰, 시대를 향한 정직한 질문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민주주의는 기억 위에 세워진다. 역사를 망각한 정치가 남기는 것은, 선동과 파괴뿐이다. 지금 청년정치의 좌표는 어디에 있는가.
‘젊다’는 것은 가능성이지, 진실의 보증은 아니다.
김문교 전문위원 kmk4734@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극우화된청년정치 #역사를알아야한다 #민주주의는기억위에세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