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좌측)가 7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_연합뉴스)
[시사의창=김성민 기자]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조기 대선을 앞두고 "이번 선거는 이재명과 민주당을 심판하는 장이 돼야 한다"고 발언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러나 그의 이 같은 발언은 오히려 당내 분열을 자초하고 있다는 비판이 뒤따르고 있다.
권 의원은 7일 국회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국정 혼란의 책임은 민주당에 있다"며 "이재명 세력의 폭주를 막는 것이 국가 정상화의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이후, 윤석열 대통령은 물러났지만 민주당은 책임을 지지 않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그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정치권 안팎에서는 ‘정치적 책임을 회피한 공격적 프레임’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권 의원이 "이번 선거는 결코 패배해서는 안 될 싸움"이라며 선거 프레임을 반(反)이재명 정서에만 의존한 점은 설득력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권이 무너진 상황에서 먼저 성찰이 있어야 할 집권 여당이 선거부터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말도 흘러나온다.
더욱이 권성동 의원이 연설 도중 “계엄 이후 넉 달 동안”이라는 실언을 해 혼선을 자초하기도 했다. 해당 발언은 ‘탄핵 이후’를 의미한 것으로 보이나, 군사정권 시절을 연상케 하는 단어 선택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조기 대선과 관련해 차라리 후보를 내지 않는 ‘백의종군론’까지 거론되고 있다. 한 중진 의원은 “탄핵 정국의 책임이 여당에도 있음이 명백한데, 섣불리 대선 후보를 낸다면 국민적 역풍을 피할 수 없다”고 밝혔다. 당 일각에서는 ‘국정 혼란의 공범’이라는 국민 인식이 여전한 상황에서 대선 주자를 띄우는 건 무리라는 현실론이 힘을 얻고 있다.
권 의원은 이날 “당내 갈등을 자제해 달라”며 화합을 강조했지만, 그가 직접 ‘이재명 심판’을 외치며 갈등의 불씨를 키운 점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평가다. “당내 비판도 잊겠다”고 했지만, 이미 갈등의 상처는 여전하고, 그 말마저도 선거용 립서비스로 치부되는 분위기다.
결국 국민의힘은 당장 대선 체제를 논하기에 앞서 당 전체의 책임과 위기를 돌아보고, 진정한 반성과 재정비에 나설 시점이라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권성동 의원의 발언은 오히려 이런 변화 흐름을 가로막고 있다는 점에서, 당내 비판이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성민 기자 ksm950080@gmail.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권성동 #국민의힘 #조기대선 #이재명심판론 #정치실언 #당내분열 #보수정당위기 #대선불출마론 #탄핵정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