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창=정용일 기자] 윤석열 정부 들어 해직된 방송 관련 기관장들은 11일 현 정권을 겨눠 '언론 쿠데타'라고 비판하며 방송·언론 자유 존중을 촉구했다.
기자회견 하는 전 방송 기관장들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한상혁 전 방송통신위원장, 정연주 전 방통심의위원장 등이 윤석열 정부 '해직 방송 기관장'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정연주 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장·권태선 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남영진 전 KBS 이사장·한상혁 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지난 5월 한상혁 방통위원장의 해임 이후 3개월 사이 윤석열 정권이 공영방송을 비롯한 비판언론에 자행한 폭거는 가히 쿠데타적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그들의 진정한 목표는 '보도지침'과 '언론통폐합'으로 상징되는 전두환 시대의 언론환경으로까지 퇴행하는 데 있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이어 "실제로 저희 네 사람과 KBS 윤석년 이사와 EBS 정미정 이사에 대한 해임, 그리고 방문진 김기중 이사에 대해 오늘 진행되고 있는 해임 청문 절차에 이르기까지 모든 해임 과정은 절차적 정당성조차 확보하지 못한 위법"이라며 "저희는 이 '언론 쿠데타'가 끝끝내 성공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법원이 이날 권태선 이사장이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낸 해임 처분 집행정지 신청을 인용하면서 권 이사장은 일단 직에 복귀하게 됐다. 남영진 전 KBS 이사장이 해임 처분에 불복해 낸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권 이사장은 회견 후 기자들에게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방문진 이사장을 바꾸고 경영진을 바꾸겠다는 악순환이 되풀이됐다"며 "집행정지를 계기로 그런 악순환이 끊어지고 방송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가 존중되는 사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진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저지 야4당 공동대책위원회' 주최 간담회에서도 "방문진 이사장으로 다시 복귀해서 방문진법에서 하라고 한 MBC의 독립을 지키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남 전 이사장은 자신이 낸 가처분 신청이 기각된 것에 대해 "제가 있을 때 KBS도 더 세게 해야 했던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은 '김만배-신학림 대장동 허위 인터뷰 의혹'과 관련해 "김만배씨 녹음 파일을 손에 넣기도 힘든데 그걸 손에 넣었는데 망설이면서 보도를 안 한다는 것은 신문기자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대선) 한 시간 전에 (보도) 하면 어떻고 3일 전에 하면 어떻고 닷새 전에 하면 어떤가"라고 되물었다.
민주당 고민정 의원은 간담회 후 기자들에게 "(이동관) 방통위원장을 방통위원장이라고 인정할 수 없다. 5명 합의제인데도 2명이 채 안 되는, 그것도 대통령이 인선한 두 사람 가지고만 운영하는 것 자체가 이미 법률에 위배되는 구조"라면서 "모든 책임과 부담은 결국 대통령한테 지워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3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시상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한편 국민의힘이 이른바 ‘대장동 대선공작 게이트’ 사건을 계기로 언론 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당 내부적으론 포털의 책무 강화 및 가짜뉴스 근절을 위한 제정법 마련, 악의적 행위가 적발된 언론사를 퇴출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등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서 총선을 7개월여 앞두고 여당 지도부는 언론에 대한 강도 높은 개혁 의지를 드러내는 상황이다.
이번 언론개혁과 관련한 전체적인 칼자루는 지난달 28일 임명된 이동관 신임 방송통신위원장이 쥔 상황이다. 이 방통위원장도 지난 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흑색선전 근절 방지법 입법이 필요하다”며 소신을 밝힌 바 있다.
정용일 기자 citypress@naver.com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