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빛이라곤 없는 암흑처럼 느껴지더라도, 우리가 생물학적 존재라는 사실을 상기하면 마음의 안정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 그 어둠은 물러가게 돼 있다. 설령 지금 당장은 그렇게 느껴지지 않더라도, 우리의 뇌는 그렇게 설계돼 있기 때문이다.”

-본문 중에서-

안데르스 한센 지음 ㅣ 이수경 옮김 ㅣ 한국경제신문 출판


[시사의창=편집부] 오늘날 스트레스, 우울, 불안은 너무나 흔한 감정이다. 행복하다가도 어느덧 공허함을 느끼고, 관계에서 외로움을 맞닥뜨리고, 일상 중 빈번하게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러한 감정들을 느끼는 건 맞지 않는 인간관계 때문일까?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이 부족해서일까? 빈부격차가 심하고 경쟁이 치열해지는 사회 때문일까? 그러나 이것들만으로는 부정적인 기분과 감정의 이유를 전부 설명할 수 없다.

스웨덴에서 가장 주목받는 정신과 의사이자 세계적 작가인 안데르스 한센은 오래전부터 자신을 끈질기게 괴롭힌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뇌가 작동하는 원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류학과 뇌과학 연구를 통해 마음의 메커니즘을 밝히고, 진화의 관점으로 부정적인 감정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다루어야 할지 그 답을 이 책 <마음을 돌보는 뇌과학>에 충실히 담았다.

우울, 불안, 스트레스의 설계 원리와 대안은 전 세계의 관심사다. 진화라는 새로운 관점을 통해 마음을 살피고 해법을 찾는 이 책은 35개국에 판권이 수출되고 스웨덴, 일본, 영국 등의 나라에서 베스트셀러가 될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도파민네이션>의 저자 애나 렘키도 “인간의 뇌를 이해하고 싶다면 놓쳐서는 안 될 필독서”라며 이 책을 추천했고, <도무지 내 맘 같지 않은 사람들과 잘 지내는 법>의 토마스 에릭손 역시 “이 책이 행복에 대한 관점을 완전히 바꾸어 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에서도 허지원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교수는 이 책이 “마음의 문제로 길을 잃었다고 느끼는 이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라고 강조했다. 어쩌지 못하는 감정들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휘둘리기보다 어떻게 이 마음을 돌볼 수 있을지 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