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박옥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2)이 경기교통정보센터 노후 인프라 개선과 도민 체감형 교통서비스 강화를 강하게 요구했다. 박 의원은 경기교통공사 부채 급증과 위험물 적재 차량 사고 증가 문제도 함께 지적하며 종합 대책을 촉구했다.​

경기교통정보센터 노후 인프라 개선과 도민 체감형 교통서비스 강화를 강하게 요구했다.
(경기도의회 제공)


박 의원은 “경기교통정보센터가 도내 31개 시군의 교통정보를 실시간 수집·제공하는 핵심 기관임에도 안양·수원 등 기초지자체 스마트도시통합센터보다 시설·운영 시스템이 현저히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전산망 마비 사태가 있었던 점을 들어, 재해복구시스템 부재와 원거리 데이터 이중화 미구축을 핵심 리스크로 짚었다.​

이에 김광덕 교통국장은 재해복구시스템과 데이터 이중화 구축을 적극 검토하고, 민간 플랫폼과의 협력을 통해 교통정보 서비스의 정확도와 편의성을 높이겠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인천시 ‘초정밀 실시간 위치 서비스’를 사례로 들며, 공공데이터와 네이버·카카오 등 민간 플랫폼 연계를 통한 비용 절감과 정확도 제고를 제안했다.​

재정 현안으로는 경기교통공사 2024년 부채가 1,037억 원으로 급증한 점이 지적됐다. 박 의원은 재정건전성 확보 방안 마련을 주문했고, 민경선 사장은 중장기 계획을 통해 건전성 제고와 광역·철도·첨단교통 등 신규 사업 기반을 적극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안전 분야에서는 최근 5년간 도내 위험물 적재 차량 사고가 353건 발생했고 이 중 17%가 실제 유출로 이어졌다는 점이 강조됐다. 경기교통연수원의 위험물 운전자 교육 이수율이 55%에 그친 점도 문제로 제기돼, 교육 이수율 제고와 사고 예방 대책 강화가 과제로 제시됐다.​

감사 이후 경기도의 과제로는 재해복구 체계 구축, 데이터 이중화, 민관 연계 서비스 고도화, 교통공사 재정건전성 로드맵 수립, 위험물 차량 교육 이수율 제고 등이 부상했다. 박 의원은 경기도 교통 인프라의 첨단화·지능화 전환과 도민 안전·편의 최우선 정책을 거듭 강조했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경기도의회 #박옥분의원 #경기교통정보센터 #노후인프라 #재해복구시스템 #데이터이중화 #경기교통공사 #부채 #1,037억 #위험물차량사고 #353건 #교육이수율 #도민안전 #교통서비스 #스마트도시통합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