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의 창=조상연 기자] 수원특례시가 ‘제3차 수원시 아동친화도시 조성 기본계획(2026~2029)’을 수립하고 아동의 권리를 시정 전반의 중심 가치로 삼는 정책 추진에 나선다. 시는 13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아동친화도시 추진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연구용역 결과를 보고하고, 지난 4년간의 제2차 계획을 평가한 뒤 차기 계획의 방향을 확정했다. 기본계획은 ‘아동의 권리가 중심이 되는 도시, 수원’을 비전으로 설정했다.​

수원시가 아동친화도시 추진위원회 정례회의를 열고 있다.(수원시 제공)


이번 계획 수립에는 2024년 제4차 아동친화도 조사연구 결과와 아동정책 원탁토론 제언, 2025년 아동 요구도 조사 결과, 아동참여위원회 의견이 기초 자료로 활용됐다. 시는 근거 기반 정책 설계를 통해 현장 수요를 반영하고 지속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추진 체계는 핵심영역별 목표와 과제를 연계해 부서 협업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정책은 놀이와 문화, 참여와 존중, 가정환경, 안전과 보호, 보건과 복지, 교육 환경 등 6대 핵심영역에서 44개 세부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세부사업에는 어린이날 행사, 아동정책 토론회, 청개구리 기자단, 수원특례시 청소년 정책 제안 대회 등 참여 확대 과제가 포함됐다. 생성형 AI ‘점프프렌즈’, 고립·은둔 청소년 원스톱 패키지, 특수목적 지역아동센터, 결식아동 급식지원 등 지원체계 강화 과제도 병행된다.​

찾아가는 수원 기후 마법학교와 청개구리 교실, 부모교육 등은 교육·환경·가정 연계를 통한 아동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 시는 부서별 실행 로드맵과 성과관리 체계를 통해 사업의 효과성을 점검할 계획이다. 시민 참여 채널 확대로 정책 환류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수원시는 2017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았고, 2022년 5월 상위 단계 인증을 획득했다. 오는 2025년 12월 상위 단계 인증 갱신 신청을 앞두고 제3차 계획을 통해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정책 체계를 재정비한다. 추진위원회에는 교수, 장학사 등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관계자 등 14여 명이 참석했다.​

김애영 수원시 아동돌봄과장은 “향후 4년간 추진할 비전·정책목표와 사업을 충실히 담았다”며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아동권리 중심 도시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중장기 과제 중심의 연차별 추진과 성과지표 관리로 체감 성과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관계 부서 간 협업을 통한 통합적 서비스 제공도 병행한다는 구상이다.​

조상연 기자(pasa66@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 창

#수원특례시 #아동친화도시 #기본계획 #2026~2029 #아동권리 #유니세프인증 #상위단계갱신 #참여와존중 #놀이와문화 #안전과보호 #보건복지 #교육환경 #점프프렌즈 #청개구리기자단​